한나라당이 중앙당 공천심사위원회에 이어 시도당 공심위 구성을 놓고 친이계와 친박계간 물밑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당장 금주 중 결론이 날 것으로 예상되는 경기도당 공심위 구성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9일 한나라당 경기도당 관계자 등에 따르면 도당은 원유철 도당위원장이 해외에서 귀국하는 다음날인 12일 도당 공심위 인선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공심위원장에는 원유철 도당 위원장, 부위원장은 정진섭 의원이 사실상 내정 상태다.
이밖에 국회의원 몫으로는 신영수, 김영우, 이사철, 김성회, 이화수, 김성수 의원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중 친박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은 김성수 의원 정도다.
대표적인 친박계인 유정복 의원은 당내 ‘친박 사정론’ 논쟁에 휩싸이며 최근까지도 도당 공천작업에서 한발 물러선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친박으로 분류되고 있는 한선교 의원도 공심위 자체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원유철 도당위원장이 공심위 구성에 대해 “친이-친박 비율을 5대5로 맞출 것”이라고 밝힌 바 있지만 도내 친박계 의원이 소수에 불과해 다른 시·도와 달리 친박계의 ‘지분’ 요구 목소리가 크지 않다.
결국 도당 공심위에서 친박계가 힘을 얻기 위해서는 국회의원보다 친박 성향 원외인사들이 많이 배치되야 가능하지만 이마저 쉽지 않다.
그러다고 친박계가 향후 당내 세력싸움의 중요한 밑바탕이 될 경기지역을 쉽게 포기하기에는 아쉬운 점이 많다.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의 경우 당연직 대의원으로 대표 선출이나 대권 경선에서 직접 표를 행사하기 때문이다.
한편 한나라당 도당 공심위가 현재 흐름처럼 친이계가 장악할 경우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친이계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대거 공천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또한 친박계 인사들이 공천과정에서 소외되면서 무소속 등으로 대거 출마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박대준·어기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