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바이오특화단지 조성 나선 인천시…정부 결정만 ‘오매불망’

인천시, 산업부에 새로운 연구개발에 대한 육성사업 지원 요청
계획 보완 필요하단 이유로 기재부 예타 탈락…지난달 재신청
영종바이오특화단지, 혜택 확대 필요로 국가산단 지정 절실
국토부, 수도권 균형발전 이유로 난색…시, 필요성 꾸준히 어필

 

올해 첫 발을 내딛은 바이오특화단지 조성은 중앙 정부의 결정에 달렸다.

 

인천시는 정부 결정만 오매불망 기다릴 뿐이다.

 

연구개발과 테스트베드 구축 등 핵심사업을 위한 국비 확보는 기획재정부, 영종바이오특화단지를 견인할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국토교통부 손에 달려있기 때문이다.

 

7일 시에 따르면 송도 바이오클러스터를 중심으로 남동국가산업단지와 영종제3유보지를 연결하는 ‘바이오 트라이앵글 특화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력양성부터 연구개발, 임상시험, 생산까지 아우르는 바이오 전주기 생태계를 구축해 세계 최대 규모의 바이오산업 글로벌 거점도시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송도국제도시는 바이오 연구개발(R&D)과 인력양성 거점으로, 남동산단은 바이오 원부자재와 소부장 육성 거점으로, 영종제3유보지는 바이오 글로벌 생산과 협력 거점으로 조성한다.

 

하지만 첫 단추인 국비 확보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해 12월 산업통상자원부는 인천을 비롯한 특화단지 12곳을 대상으로 기재부에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육성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했다.

 

이 가운데 시는 양자컴퓨터 활용 신약 개발과 바이오 원부자재 실증시험을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등 새로운 연구개발(R&D)에 대한 육성사업 지원을 요청했다.

 

이를 위해선 국비 200억 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지난 2월 예타 대상에서 탈락해 국비 확보에 제동이 걸렸다.

 

당시 기재부는 특화단지별로 계획된 차별성이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이후 시는 산업부와 협의를 통해 당초 계획서를 보완하는 작업을 거쳤고, 지난달 2일 예타 재신청에 나섰지만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미지수다.

 

영종바이오특화단지도 정부 결정에 발이 묶여있다.

 

지난해 6월 산업부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공모에 영종 제3유보지가 선정되며 시의 바이오 트라이앵글 특화단지 조성에 기대감이 높아졌다.

 

하지만 초기 투자 비용이 크고, 연구개발 기간이 긴 바이오산업의 특성상 단순 특화단지 지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특히 바이오특화단지는 바이오기업에만 금융 지원, 세제 혜택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콜드체인·바이오용 반도체 등 연계 기업들은 아무런 혜택도 받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국가산업단지 지정이 해결책으로 거론되지만 국토부는 수도권 균형 발전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는 올해 3월에도 국토부에 국가산단 지정을 건의했지만 돌아온 답은 ‘NO’였다.

 

시 관계자는 “바이오특화단지 같이 규모가 큰 사업을 시에서만 이끌고 가긴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예타 통과를 위해 자료 보완 요청 등에 대한 대응 준비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산단 지정은 산업부와도 긴밀히 협의하며 국토부에 필요성을 어필하고 있다”며 “현재 영종제3유보지 땅주인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데, 이를 토대로 국가산단 신청이나 타당성용역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했다.

 

[ 경기신문 / 인천 = 박지현 기자 ]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