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기도당에 이어 한나라당 경기도당 역시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면서 여야 모두 본격적인 공천제제로 돌입했다. 하지만 계파 간 갈등은 내재돼 있어 내부진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앞서 민주당 경기도당도 지난달 26일 도당 대회의실에서 회의를 열어 정장선 국회의원을 공심위원장으로 선정, 공심위 구성을 마무리했다.
한나라당 역시 14일 원유철 경기도당 위원장을 공심위원장으로, 17명의 공심위원 구성을 완료했다. 이로써 여야는 공천체제에 본격 진입하게 됐다.
하지만 한나라당이나 민주당 모두 계파 갈등을 내재하고 있어 공심위의 향후 활동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나라당의 경우 친이계 6명, 친박계 4명으로 구성돼 있다. 친박계 입장에서는 경기도는 영남을 제외한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 친이계 역시 경기도에서 친박계에 밀리면 안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두 계파는 경기도에서 공천을 놓고 상당한 갈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당 지도부는 성범죄자, 뇌물 및 불법정치자금 수수, 경선 부정행위자 등 4대 범죄 및 금고형 이상을 공천에서 배제시키기로 했다. 또한 호화청사 건축 논란이 일고 있는 지역의 현역 단체장들에 대해서도 공천 배제를 할 예정이라고 공언하면서 현역 단체장 칼바람이 예고되고 있다.
민주당 역시 계파 간 갈등으로 골치 아픈 상황이다. 김진표 최고위원이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데 이어 이종걸 의원이 출마를 선언하면서 주류와 비주류의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비주류인 이종걸 의원은 다른 광역단체장과 연계, 인터넷·모바일 투표제 도입을 주장하면서 주류측을 압박하고 있다. 주류측은 정세균 대표가 직접 나서서 비주류의 요구에 대해 “목소리를 내지마라”고 일축했다. 이에 김 최고위원과 이 의원 간의 싸움 양상이 주류와 비주류의 전면전으로 확산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