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4당과 4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4+4 협의체’가 야권 후보 단일화 잠정 합의문을 마련했으나 민주당이 지난 16일 저녁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추인을 보류했다.
민주당은 지난 16일 저녁 최고위원회를 열고 “지방선거에 있어 광역단체장의 후보 단일화 문제를 매듭짓지 않은 합의는 기초단체장 및 광역·기초의원에 대한 합의를 불안하게 한다”며 “보다 완결성 있는 내용으로 수정·보완해서 합의하는 것이 좋겠다”며 추인을 보류했다.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는 합의문에는 경쟁방식에 의한 광역단체장 단일후보 선출을 해야 한다는 막연한 방식만 언급했지만 구체적인 방식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추인을 보류했다는 것이 공식적인 입장이다.
또한 진보신당이 탈퇴를 선언한 상황에서 민주당의 추인이 진행될 경우 야 5당 합의를 이끌어 내기 힘들다는 점도 추인을 미루는 또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민주당은 내부적으로 기초단체장을 야 4당에 양보했음에도 광역단체장 부분에서 다른 야 4당의 양보를 얻지 못한 것에 대해 당 지도부가 불만을 품은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따라서 다른 야 4당이 광역단체장의 구체적인 경선 방식이 정해지기 전까지는 유보적인 입장이다.
노영민 대변인은 이에대해 “재협상을 해서 보다 완벽한 합의문을 도출하면 그때 추인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진보신당 재합류를 촉구했다.
한편 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국민참여당과 4개 시민단체는 지난 15일부터 16일 새벽까지 회의를 열어 민주당이 하남·오산을 민노당에게 이천·김포를 국민참여당에게 양평은 시민사회 추대 등 5곳 기초단체장을 양보하는 것으로 합의했었다.
그러면서 야 4당은 동두천·가평·성남·고양·화성·시흥·파주·군포·용인·남양주 등에 대해서는 추후 논의하기로 하고 나머지 15군데 지역은 민주당이 후보를 내는 것으로 합의했었다.
광역단체장의 경우 경쟁방식을 통해 다음달 15일까지 단일후보를 선출키로 했다. 하지만 합의 추대의 가능성도 열어놓았다. 또한 지방의원의 경우 경기도 112곳 중 31곳(27%)를 비민주당 몫으로 하기로 합의를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