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자 가족과 생족장병 면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언론에 사진과 영상찰영만을 허용한뒤 비공개로 이뤄졌다.
가족협의회는 “생존장병을 만나는 것은 사고당시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가족들이 실종된 자식이나 형제 등의 평소 군생활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 위한 안정 차원”이라며 “면담 결과에대해서는 9일중 공식 브리핑을 통해 밝히겠다”고 말했다.
앞서 천안함 실종자 가족협의회는 이날 국방부 기자회견 내용 중 일부 내용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실종자 가족협의회 이정국 대표는 이날 오전 평택 해군2함대 현장보도본부에서 진행된 기자회견을 통해 “가족 대표들과 회의한 결과 국방부(사고조사)발표에 전적으로 동의하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 대표는 “어제 나온 몇 가지 사항은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과 많이 다르다”며 “가족들이 잘 못 알고 있는 것인지, 군 당국이 잘 못 알고 있는 것인지 검토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국방부 발표가 틀리고 우리 주장이 맞는다는 차원이 아니라 전적으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의미”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민군 합동조사단에 가족들이 참여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함께 이날 실종자 가족들은 민·군 합동조사단 참여에 대해서도 새로운 입장을 제시했다.
이 대표는 “지금까지 가족 중 4명을 선발해 참여시키려는 계획이었으나 단순한 참관만으로는 의혹을 풀 수 없다고 판단, 가족대표 1인에 민간전문가 3인을 섭외해 직접 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군에 요구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우리는 원인 자체 규명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군의 구조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이 같은 사고에 국가가 얼마나 철저히 대비를 하고 있었는지, 재난대비시스템이 갖춰져 있었는지, 없었다면 이제라도 갖춰야 한다는데 합조단 참여 의미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