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들이 사고를 당해 촉각을 다툴 때는 정말 온몸이 긴장됩니다. 당연히 큰 부상 없는 경우엔 안도의 한숨을 내쉬지요.”
경마팬들은 환호성을 경주를 관전하나 응급구조사는 혹 사고발생에 대비, 얼굴엔 팽팽한 긴장이 감돈다.
대한민국 응급구조사 1호 KRA 전승철 응급센터장.
기수들의 안전을 책임지는 그는 경마가 열리는 날이면 주로를 초조하게 바라본다.
자동차 경주의 10배나 높은 사고율에 잠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전승철 센터장은 국립의료원에서 일하다 12년 전 마사회에 전입신고를 했다.
“처음 봤던 게 말 새벽조교 모습으로 어스름한 새벽 주로를 환하게 밝혀놓고 말들이 달리는 모습이 장관이었지요. 다이내믹한 그 장면에 이끌러 오늘까지 왔네요.”
다이내믹한 설렘은 기수와 경마팬, 그를 부른 마사회도 응급구조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을 평가 절하해 변변한 장비가 하나 없는 실망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응급센터의 중요성을 깨달아 제대로 대접받은 때는 보람도 상대적으로 컸다.
“예전엔 경마장에서 구급차는 사고가 났을 때 단순히 병원으로 이송하는 수단이었지요. 그렇지만 이제는 타 시도센터와 대기업에서 우리의 응급처치 시스템을 벤치마킹하러 올 정도로 인프라도, 인식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경마공원에서 조치를 취해야 할 사고는 1년에 140~150건 정도로 단순 낙마를 포함하면 500건을 넘는다.
응급구조사의 손과 발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바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가장 기뻤던 순간은 3년 전 문세영 기수가 경주 중 말에 가슴을 채여 호흡을 멈췄으나 달리는 구급차 안에서 빠른 응급조치로 호흡을 이어갔을 때다.
또 7년 전 박태종 기수가 낙마로 목을 크게 다쳐 자칫 전신마비가 될 뻔한 처치로 기수생활을 다시 이어갔다. 기수들의 생각도 바뀌어 구급차가 있지 않으면 주로를 나서지 않을 정도다.
“사람이 가장 고통스럽고 괴로울 때 대가없이 도움을 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직업이라 이 직업을 택했고 지금도 그 생각엔 변함없고 후회도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