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4일 천안함 사태와 관련한 대국민 담화에서 “북한은 자신의 행위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4·8·9면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전쟁기념관 호국추모실에서 행한 담화에서 “앞으로 (북한이) 우리의 영해, 영공, 영토를 무력 침범한다면 즉각 자위권을 발동할 것”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한반도 정세가 중대한 전환점을 맞고 있다”면서 “북한의 책임을 묻기 위해 단호하게 조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단호한 조처와 관련해 “지금 이 순간부터 남북해운합의서에 허용된 우리 해역의 어떠한 해상교통로도 이용할 수 없다”면서 “남북 교역과 교류도 중단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천안함 침몰을 대한민국을 공격한 ‘북한의 군사도발’로 간주한 이 대통령은 “우리 젊은이들의 목숨을 앗아간 이 상황에서 더이상의 교류·협력은 무의미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아울러 “우리의 궁극적 목표는 군사적 대결이 아니다.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이다. 한민족의 공동번영이다. 나아가 평화통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담화에 따라 현인택 통일부 장관과 김태영 국방장관 등도 강경한 대응 의지를 밝혔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개성공단 인질사태에 대비해 미국과의 긴밀한 협력을 강조하는 한편 북한의 도발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즉각 대응’할 것임을 천명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이날 “북한측이 심리전 수행을 공격해 온다면 즉각 대응할 수 밖에 없다”고 못박고 북한이 개성공단에 있는 남한 근로자들을 인질로 잡을 가능성에도 무게를 두고 “군에서 몇가지 방법으로 계획을 세우도록 발전시키고 있고, 미국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국회 진상조사특위에서 설명했다.
이와함께 정부는 북한 선박의 우리해역에 대한 운항을 전면 금지키로 하고 우리나라의 민간 항공기도 북한 영공을 우회해 운항해 줄 것을 주문했다. 특히 남북교역과 관련, 개성공단을 제외한 남북간 교역이 전면 중단되고 개성공단과 금강산 지구를 제외한 우리국민들의 방북도 일체 불허된다.
이에 따라 북측은 제주해협 통과는 물론, 인천과 군산·여수·부산·울산·포항·속초 등 7개항을 오가는 선박 모두 운항이 중단된다. 제주해협은 북측선박이 동해와 서해를 오가는 지름길로 제주해협 통항 불허로 인해 북측 선박들은 남해상을 돌아 동해로 운항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