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지방선거를 기점으로 전국 최대 기초자치단체인 수원시의 시정 운영 방침에 대대적인 변화의 바람이 몰아칠 전망이다.
민선 3·4기를 지내면서 8년간 지속돼 온 한나라당의 개발주의 시정 운영에서 민주당 염태영 당선자의 핵심 공약이던 주민 복지 중심으로 시정 운영 방향이 급선회 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그동안 민주당 염태영 수원시장 당선자는 ‘사람이 반가운 도시-수원을 만들겠다’는 슬로건으로 콘크리트 행정에서 복지, 교육, 보육 등 사람에 투자하는 수원을 만들겠다고 공약해 왔다.
이에 따라 민선 5기 시정 운영 방침은 기존 개발 중심에서 벗어나 주민 참여 확대와 주민 복지 위주 등 대대적인 칼질 내지는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무산된 수원.오산.화성 행정구역 통합 여부도 관심사다.
지난 2006년 지방 선거때부터 행정구역 통합을 주요 공약으로 해 왔던 터라 행정구역 통합을 위한 추진 방향과 성사 여부에 귀추가 주목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재선에 성공한 한나라당 김문수 도지사 당선자와 중앙 정부 등과 적지 않은 신경전도 벌어질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특히 염 당선자가 후보 시절 민주노동당과 후보 단일화를 조건으로 합의한 민노당과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시민참여형 공동지방정부’는 최대 관심사다.
공동 정부의 운영 방식과 시민·사회단체 등의 시정 운영 참여 비율에 관심이 쏠리기 때문이다.
공직 사회의 대폭적인 인사 이동도 불가피하다.
또 기존에 지적됐던 측근 학연 위주 인사를 철저히 배척하기로 하면서 그동안 인사 적체 등으로 불만을 샀던 공직 사회의 숨통도 다소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염태영 당선자는 당선소감에서 “수원 시민들이 민주당과 저에게 무엇을 요구하는 지 잘 알고 있다”며 “수원의 미래 발전과 자존심을 지키고 사람이 반가운도시, 수원을 만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