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8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재테크] 나이·재정 감안 구체적 목표 수립을

장기상품 치중… 단기·중기상품 중심 전략 수정필요
불입금액 작은 장마저축 2~3개 해지 목돈으로 운용
소득규모 대비 과도한 보험설계… 리모델링 바람직

Q. 5년 후 1억 목표… 자금운용 어떻게?

안녕하세요. 3년차 직장인으로 현재 월 수입은 세후 165만원(기숙사비, 식비 제외) 정도며 기숙사 생활하고 있습니다.

매월 비과세장기우대저축 5가지(농협, 우리은행 2가지, HK은행, 제일은행) 19만원, 펀드 4가지(장마 하나USB, 장마신탁 CMA, 비과세장기주식형적립식, 미래에셋디스커버리) 35만원을 불입 중입니다. 또 보험 5가지(수호천사 2가지, 변액연금, 삼성 애니타임, 현대 실버) 45만원, 청약저축 10만원을 불입 중입니다. 이외에 적금 380만원과 정기예금(2가지) 730만원, 여행과 라식용 비상자금으로 CMA에 80만원을 넣고 있습니다. 현재 가용 자산은 총 2천500만원 이며 여유자금은 CMA통장에 저축하고 있습니다.

5년 후 1억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현재 포트폴리오 상태로 목표 달성이 가능한지, 또 5년 후 만기되는 자금들은 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A. 직장생활 한지 3년이 채 안 됐다면 아직 미혼에 20대에서 30세 전 후로 판단됩니다. 아직 미혼인 20~30대로 소득규모가 다소 적은 편인점을 감안한다면 현재의 장기상품 위주의 포트폴리오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 부분입니다.

단기 또는 중기적으로 결혼을 준비해야 하는 나이라면 장기상품보다는 단기 및 중기상품을 중심으로 하는 포트폴리오의 구성이 바람직합니다.

장마상품은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이 주어지지만 장마저축의 경우 금리수준이 낮은 편이고, 그나마 2012년까지만 한시적으로 혜택이 주어진다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현재 5개의 장마저축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중 금액이 작은 2~3개는 해지해 목돈으로 운용해 보길 바랍니다. 장마펀드는 소득공제 혜택이 없어지더라도 장기 적립식투자상품이므로 유지해도 무방해 보입니다.

주택청약을 위한 청약상품, 장기주식형펀드와 적립식펀드, 적금, 노후대비를 위한 변액연금 등은 모두 현재 연령대에서 선택 가능한 금융상품들입니다. 적금과 적립식펀드(장기주식형펀드 포함)를 중심으로 목돈마련을 해 나가면서 장기적으로 청약과 노후대비를 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하지만 장마를 포함한 장기상품 투입비중이 다소 크다는 문제점이 있어서 장마저축의 투입규모는 줄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변액연금의 경우 다른 상품과 달리 해지나 감액시 손실이 따르므로 본인의 재무계획상 단기자금의 필요성이 크지 않다면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도 좋습니다.

보장성보험은 많은 상품을 가지고 간다고해서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월 16만원의 보장성보험료를 지출하고 있고, 부모님이 별도로 납입하고 있는 상품들이 있다면 본인의 나이와 소득규모 대비 다소 과도한 보장설계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우려됩니다.

이번 기회에 보험상품의 효율성에 대해 전반적으로 진단을 받아 리모델링을 실행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람직할 것입니다.

현재 소득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월 소득의 70%에 가까운 저축률(보장성보험료 지출은 저축이 아닙니다)을 통해 이러한 불리함을 잘 극복하고 있습니다.

남은 것은 효율성입니다. 본인의 나이와 재정상황, 향후 재무목표를 감안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자산운용의 효율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5년 후 1억 만들기라는 목표는 얼핏 보기에는 구체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매우 추상적인 목표입니다. 무엇을 위해, 얼마의 자금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재무전문가의 오프라인 상담을 받아 보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자료제공 : 재테크 포탈 No1. 모네타 (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 : 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