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세계도시축전, 인천방문의 해, 아시아 경기대회등 대규모 프로젝트들에 연이어 추진중인 인천의 상징은 인천로봇랜드(대표 전의진, 이후 로봇랜드)다. 로봇랜드란 로봇을 주제로 형상화한 놀이기구, 체험관, 로봇경기장, 상설전시관, 판매장 등으로 일체화된 로봇전용 문화공간으로 세계최초의 지능형로봇 테마파크다.로봇랜드의 주제는 ‘Fun & Fantasy with Robot’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건물 40층 높이(111m)의 태권브이타워를 건설할 예정이며, 이를 활용해 외국인 관람객은 물론 로봇랜드의 상징적 브랜드로 활용할 방침이다. <편집자 주>
로봇랜드는 인천경제자유구역 청라지구 5블록에 76만7천㎡부지에 놀이시설과 워터파크, 로봇체험관, 로봇 연구개발(R&D)센터, 로봇연구소 등 로봇관련 복합문화공간으로 세계최초의 지능형로봇 테마파크로 지식경제부로터 조성실행계획 승인을 받는 대로 착공해 오는 2012년 로봇랜드를 개장하고, 전체시설은 2013년 말까지 완공할 계획이다.
로봇랜드는 인간과 로봇이 교감하는 공간 속에서 상상력과 문화가 어우러진 테마파크다. 단순한 로봇공원이 아닌 로봇체험관, 연구시설, 기업지원시설을 포함한 복합로봇산업 테마파크이기도 하다.
그동안 테마파크가 동화와 만화로 한 1세대, 동물과 자연주제의 2세대, 첨단기술 주제의 3세대로 진화했다면 로봇랜드는 인간과 교감하는 미래로봇세계를 구현한 4세대 테마파크의 원조가 될 것이다.
▲로봇랜드 조성으로 예상되는 파급효과
로봇랜드를 조성함으로써 연간 약 3천500억원 이상의 생산유발효과가 발생하리라 기대되고, 연간 2만여명의 고용창출을 기대할 수 있고, 세계최초로 로봇테마파크 조성에 따른 명품도시 인천의 브랜드가치를 높일 수가 있다.
게다가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첨단산업단지와 연계해 로봇산업을 선도해 나갈 것이다. 나아가 세계3위 로봇대국이라는 국가적 목표 달성의 전초기지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고, 로봇과 엔터테인먼트 접목을 통한 국가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과 외국인 관광객 유치 촉진으로 국가 경제에 이바지 할 것이다. 로봇R&D센터 인접지역에 들어설 서울대-KAIST 연구단지, IHP등을 통해 로봇관련 원천기술을 개발할 것이다. 그리고 70%이상의 기술산업단지인 남동공단등을 통해 로봇생산기지 역할을 할 수 있어 지역산업 기반형의 안정적인 로봇 산업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한국로봇산업의 미래
앞으로의 로봇은 인간이 창조한 모든 기술이 집적된 삶속의 동반자가 될 것이다. 로봇은 첨단기술의 융합으로 지능기술, 부품기술, 제어기술이 융합되고 IT와 BT를 기반으로 인간생활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해 줄 것으로 전망한다.
현재 로봇산업의 패러다임은 산업용 로봇에서 지능형 로봇으로 전환하고 있고, 근시일내에 로봇산업은 미래의 스타산업으로 2020년에는 1가구 1로봇시대가 실현될 것이다.
로봇산업은 자동차산업 규모이상으로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2020년에는 5천억불의 시장규모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로봇은 한국사회를 비롯해 산업화사회에 닥친 출산율감소,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대체 및 국민복지의 대안으로 떠 오를 것이며 한국은 로봇랜드와 함께 2013년 세계3위의 지능형 로봇 기술강국으로 변모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