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 외 2년뒤 1억7천만원 필요… 어떡하나요
Q. 결혼한지 4년 조금 넘은 외벌이 가정으로 30개월 아이가 있습니다. 결혼 후 3년간 맞벌이를 해오다 지난해 부터 외벌이로 전환했는데 저축을 잘 하고 있는건지 답답한 마음에 상담신청합니다.
월 수입은 세후 380만원 정도며 연간 3천만원의 보너스를 받고 있습니다. 보유중인 30평대 아파트(시세 7억원 정도)는 전세(3억원)를 주고, 현재 서울근교에서 전세(1억3천)를 살고 있습니다. 2년후 입주계획을 갖고 있어 입주시 1억7천만원 정도가 추가로 필요한 상황입니다. 매월 적금 105만원, 연금 10만원, 보험(남편종신, 아이보험, 아내 암·손해·건강보험)으로 30만2천원, 대출이자 17만원(4.9%·4천만원 남음), 자동차할부 55만원(12월 만료), 카드사용료 120만원(식비, 육아비 등), 관리비 15만원을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장마저축 800만원, 적립식펀드 1천만원, 청약예금 250만원, 청약저축 800만원(예금 전환 예정)을 보유 중입니다. 현재 대출금은 보너스 등 목돈을 이용해 상환 중이며 적금을 붓고 있는데 잘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 노후 및 자녀에 대한 대비도 전혀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A. 맞벌이에서 외벌이 전환하게 되면 그동안과 다르게 다시 한 번 재정 점검을 해야 합니다. 현재 잘 하고 있는지 그리고 미래를 잘 준비하고 있는지 함께 따져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수입·지출>
본인이 자신의 수입과 지출을 꼼꼼히 나열해 보고 어떻게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인지를 따져보는 것도 우리 집 재정을 좋게 하는 한 방법입니다. 위에 표에서 재정목표 세우기를 보면 나름대로의 체크 점을 적어 보았습니다. 이를 중심으로 현재보다 좀 더 나은 재무설계를 세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입·지출 관리>
부동산 폭락으로 인해 대출을 낀 1주택 소유자들의 마음 고생이 심해지고 있다고 합니다. 집 가진 바보가 되지 않으려면 똑똑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매달 적금으로 넣던 100만원은 대출 상환으로 전환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입하고 있는 장기주택마련저축이나 청약통장의 금리는 낮고, 펀드도 마이너스 상태라면 4.9%의 대출을 그냥 둔다는 것은 바보 같은 행동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든 것을 중단하고 대출 상환으로 바꾸길 바랍니다.
현재 가지고 있는 상품에 대한 정리가 필요합니다. 일단 청약저축을 예금으로 전환한다고 하셨으니 1순위가 되셨다면 예금으로 전환하고 나머지 금액을 찾아 자동차 할부금을 갚아 보길 바랍니다. 할부금이 5개월 정도 남았다면 275만원의 금액이 남은 셈이므로 예금 전환으로 남은 금액을 자동차 할부의 남은 금액을 갚고, 매달 자동차 할부금으로 내던 55만원도 대출 원금 상환으로 전환하길 바랍니다. 또 펀드의 경우 마이너스이지만 현재 주가의 수준이 높은 편인 만큼 추가 불입은 최대한 줄이고 환매전략을 세우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일단 7억원의 집을 자신의 자산으로 갖는다는 생각이 더 중요한 듯 합니다. 7억짜리 집을 갖고 있으면 노후도 덜 불안하게 됩니다. 노후와 자녀를 위한 대비는 현재 연금과 자녀를 위한 교육비는 지금 넣고 있는 펀드로 해결해 보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현재 매달 일정액을 저축하기 보다는 5년 후에 집중해서 준비하는 것이 더 좋을 듯 합니다.
◇ 대출 상환을 위한 전략
1. 매달 적금하던 100만원은 대출원금 상환으로 전환한다.
2. 청약저축을 청약예금으로 전환한 후 남은 금액은 자동차 할부금 상환하고 남은금액은 또 대출 상환한다.
3. 펀드는 환매 전략을 세워 플러스로 돌아서면 일부 비상금 정도만 두고 찾은 후 대출을 상환한다.
4. 장기주택마련저축은 계로 불입이라 그대로 유지해 둔다.
5. 현 매달 수입대비 지출에서 30만원이라는 금액이 비는데 이 금액을 찾아 대출을 상환한다.
이렇게 해 보면 매달 상환할 수 있는 금액이 100만원+55만원+30만원으로 대략 185만원 됩니다. 185만원씩 1년이면 2천220만원이 됩니다. 여기에 펀드 해약 등으로 추가 1천만원을 상환하고 보너스 3천만원을 대출로 상환한다면 1년에 6천220만원이 됩니다.
올해는 대출금 4천만원을 다 갚는다는 목표로 세우고, 목표를 달성한 뒤 후 2년 후 서울집으로 옮기기 위한 자금 마련을 위해 매달 185만원과 대출이자 17만원을 합쳐 202만원을 저축한다는 목표를 세우면 될 것 같습니다. <자료제공 : 재테크 포탈 모네타(http://www.monet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