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16일 실질적인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상생협력 강화를 위한 ‘상생경영 7대 실천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상생경영 7대 실천방안은 2·3차 협력사에 대한 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상호신뢰와 성장 가능성이 있는 1차 협력사를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 반영한 것이라고 삼성전자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우선 원자재가 변동 부품단가 반영을 위한 ‘사급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직접 원자재 구매에 소요되는 자금·금융 비용을 부담, 협력사의 원자재가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함이다.
또 삼성전자는 2·3차 협력사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업은행과 공동으로 최대 1조원 규모의 ‘협력사 지원펀드’를 조성, 협력사의 설비투자, 기술개발, 운영자금 등 기업경영 전반에 걸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 주는 제도를 오는 10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삼성전자는 2·3차 협력사 경쟁력 제고를 위한 종합지원책의 일환으로 기술력과 공급능력 등 일정 자격을 갖춘 2·3차 협력사를 직거래 대상으로 바꾸고, 2·3차 협력사에 대한 물품대금 협금지급 등의 지원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협력사 평가제도를 개선한다.
또 1·2차 협력사간 공정거래문화 정착을 위한 ‘사이버신문고’를 운영하고, 1차 협력사 대상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한다.
이외에 우수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베스트 컴페니(Best Company)제도를 도입해 2015년 까지 50개사를 글로벌 기업으로 육성하며 기술·인프라 등 역량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새로운 부품과 장비 등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기존 거래 요건을 완하는 등 협력사에 대한 문호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협력사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동 기술개발지원센터’도 운영한다.
아울러 중소기업중앙회 종합고용지원센터와 협약을 맺어 중소기업이 전문인력을 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박종서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장은 “최근 상생이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부각되면서 그간 삼성전자의 상생활동을 기본부터 점검해 보고 협력사의 애로사항을 다시한번 되돌아 보는 기회를 가졌다”며 “이번에 수립된 7대 실천방안이 중소기업과 진정한 상생으로 가는 효과적인 해법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