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가 국토해양부에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을 친환경 자족도시로 건설해 줄 것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26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달 국토해양부가 협의 요청해온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 지구계획(안)에 대해 관련부서 협의와 전문가 자문, 내부회의를 거쳐 지난 12일 국토부에 검토의견서 및 요구사항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양 시장은 “국토해양부가 마련한 광명 보금자리주택 지구계획은 명품 신도시와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
양 시장이 밝힌 건의안에 따르면 광명 보금자리의 인구밀도는 국토부가 당초 제시한 ㏊당 158명에서 동탄1신도시와 비슷한 137명으로, 전체 수용인구도 27만5천명에서 3만7천명이 감소된 23만8천명으로 축소했다.
또 광명시 내 영구임대주택이 3천여가구에 달하는 점을 고려, 계획된 영구임대주택을 공공분양 등으로 변경, 당초 건설 예정 주택호수를 9만5천337가구에서 9만1천가구로 4천337가구 줄였다.
대학과 의료, 유통판매, 문화, 상업·업무 등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부지면적은 당초보다 3.7% 늘려 전체 지구면적의 20%에 해당하는 347만3천㎡로 확대해 줄 것으로 요구했다.
이와 함께 목감천 치수대책으로 서해방수로 건설이나 대규모 홍수조절지 설치를, 교통난 해소대책으로 경전철 지하화, 국철 1호선 관악역까지 연장, 인천지하철 2호선 보금자리주택 경유한 KTX 광명역까지 연장 등을 건의했다.
양 시장은 “국토부는 그동안 시가 문제 제기한 일부내용에 대해 전향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며 “하지만 시는 명품도시가 되기 위해 앞으로 국토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시 요구안을 관철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할 것과 영구임대주택을 공공분양 등으로 변경해 줄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지구계획(안) 확정이전까지 국토부와의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시의 의견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국토부도 이에 상응하는 조취를 취해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명·시흥 보금자리주택사업이 완공되면 광명시는 총 주택호수 16만호에 50만명 이상이 거주하는 대도시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