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Money Q&A] ‘수입 70% 저축’ 現 지출패턴 유지

27세 여성직장인 재무상담

Q. 내년 결혼 예정… 포트폴리오 어떻게?

27살 직장인 여성입니다. 수입은 세후 250만원 정도며 매월 동생용돈 10만원, 교통비 5만원, 학원비 20만원, 휴대전화 4~5만원, 식비 10만원, 화장품 5만원, 운동(수영)비 10만원, 경조사비 15만원 정도를 소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적립식펀드 30만원, 청약 2만원, 적금 90만원, 가족계 3만원, 장마저축 5만원, 장마펀드 5만원, CMA 35만원, 여행자금 5~10만원 정도를 불입하고 있습니다.

자산은 2천500만원 정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채무는 없는 상황입니다.

우선 만기된 적금 1천만원을 어떻게 운용해야 할지 알고 싶습니다. 또 전체적으로 자산 분배는 어떻게 하고, 재테크 상품은 어떤것으로 선택해야 할지 궁금합니다. 현재 병원에 근무중이라 실비가 할인돼 보험은 안들고 있고, 내년 가을쯤 결혼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무작정 돈만 모으면 안될 것 같은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짜는 것이 좋을까요.

A.사회에 갓 접어든 후 앞으로의 재무목표를 세워 체계적인 재무관리를 시작해야만 원할한 재무흐름을 유지할수 있게 됩니다. 소득과 지출을 검토해볼때 알뜰한 지출을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는 매우 좋은 현상으로서 앞으로도 지금과 같은 패턴을 계속해서 지켜나가면 좋겠습니다. 현금성 자산은 크게 볼때 목돈에 관한 운영 및 관리와 적립식으로 나눌수 있겠습니다. 목돈운영과 앞으로 적립식으로 운영할 방법 그리고 보장성보험과 연금등으로 구분해 설명하겠습니다.

◇현금과 목돈 등 자금활용

자금활용에 대해서 언급하자면 우선 내년 가을 결혼계획이 1차적인 목표가 됩니다. 그렇다면 재무목표에 있어서도 이 부분이 1차 재무목표가 될 것입니다. 1년이라는 단기 기간과 용도가 분명한 자금에 있어서는 무리한 공격적인 투자로 운영을 하는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입니다.

따라서 현재 보유중인 자금과 만기가 돼 찾게 되는 자금에 있어서는 안정적인 채권형펀드나 예금 혹은 원금보장형 1년만기 ELS나 ELD로 운영을 하는게 좋습니다. 예금은 현재 금리가 점차 인상되는 시기인 관계로 1년단기로 운영을 하는게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됩니다. 1금융권보다는 2금융권을 이용해 좀더 높은 금리적용을 받는게 좋습니다. 참고로 저축은행보다 이자율은 낮긴 합니다만 수협이나 새마을금고와 같은 금융기관에 60세 이상 가입자에 적용되는 비과세형 저축이나 농특세(1.5%)만 부과되는 세금우대저축을 이용하는 방법도 좋은 대안이 될수 있습니다. 채권형펀드를 가입함에 있어서는 금리가 인상되는 시기에 맞춰 가입하는게 수익률 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합니다.

◇적식립 자산 운용

적립식 자산 운영은 현재의 월별 소득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을 하기 위한 방안으로 볼수 있겠습니다. 현재 적립식펀드를 비롯해 여러 분야에 저축을 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참고할 사항과 보다 효과적인 재무운영에 대해 제시하겠습니다.

현재 불입중인 장마상품은 납입금액 대비 40%까지로 년간 300만원까지만 소득공제 혜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또한 2012년까지만 적용되고 그 이후는 배제되는 사항으로 2012년 이후에 소득공제가 적용되지 않는다면 상품 가입에 있어 매리트가 많이 떨어지게 됩니다. 지금의 자금을 보장성보험으로 지출해 이 분야에서 소득공제 혜택을 받는게 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병원에서 근무하지만 병원을 그만둘때를 생각해 손해보험의 민영의료보험을 보다 제대로 가입해서 각종 위험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는게 좋습니다.

연금에 있어서도 세제적격형과 세제비적격형이 있는데 이는 소득에 비례해서 선택을 하는게좋습니다.

소득공제를 위해서 연금저축과 같은 세제적격형 연금상품을 선택하는게 좋으나 나중에 연금을 수령할때 과세적용되는 점을 감안해보면 높은 고소득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절세효과가 없게 됩니다. 따라서 오히려 세제비적격형 연금상품이 더욱 효율적인 연금상품이 될 것입니다.

세제비적격형 연금 상품은 주식과 채권의 비율이 거의 비슷한 혼합형펀드로 운영돼 안정적인 변액연금이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화폐가치를 지켜주는 상품으로 가장 적합한 연금상품입니다. 연금으로 지출하는 적절한 비용은 본인 월평균소득 대비 10%정도가 적당합니다.

나머지 자산은 현재의 적립식펀드와 2금융권의 적금등으로 양분해서 운영을 하면 좋은 포트폴리오가 됩니다.

<자료제공 : 모네타(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 :

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