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의회가 지난 8월 가동에 들어간 소각시설인 ‘화성그린환경센터’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벌이기 위해 특위를 구성했다.
화성시의회는 25일 김경오 의장과 조성행 부의장, 4개 상임위원장이 참석한 의장단회의를 열고 ‘그린환경센터 진상조사 특별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진상조사 특위 구성은 도시건설위 간사인 이홍근 의원(민주)이 동료 의원 9명의 서명을 받아 발의했다.
이 의원은 발의문을 통해 두 달전 가동된 그린환경센터가 그동안 6천500여 톤의 관내 생활폐기물을 안산의 일반 소각시설인 A소각장으로 반출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시 소각시설이 설비의 문제점이 있거나, 운영상의 잘못으로 이같은 일이 벌어졌다며 반드시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가스화 용융방식으로 지어진 그린환경센터는 소각의 대중성이 없어 일부 폐기물을 소각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비용만 천문학적 숫자인 1천700억원이 소요된 비효율적 시설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특히, 설계 용역 당시 관내 생활폐기물량을 계절별로 조사해야 함에도 1회성에 그치고, 굴뚝 공사 도색비용도 초기예산 5천만원의 4배인 2억원이 집행되는 등 총체적 부실의 원인이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비산먼지까지 발생하고 있는 그린환경센터에 대한 진상을 낱낱이 밝혀 50만 시민들에게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신주호 환경자원과장은 “의회로부터 몇 차례 관련서류 제출을 요구받아 이미 제출한 상태”라며 “시 차원에서도 자체 조사를 벌인 결과 20건에 달하는 문제점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하루 300톤의 생활폐기물을 소각처리할 수 있도록 지어진 ‘화성그린환경센터’가 천문학적인 시설비용이 들어갔지만 무용지물에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시민들의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