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경제는 특정 업종과 상품에 대한 편중이 심하며 대외·무역의존도가 높아 국내·외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경기 하강시 충격에 대비하기 위해 주력업종 및 수출품목 다각화, 신성장동력 산업 확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6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지난해 처음으로 작성한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 발표한 ‘경기지역 경제구조와 산업연관효과 분석’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총산출액 기준 산업별 비중은 제조업이 50.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서비스업 35.9%, 건설업 8.0%, 전력·가스·수도업 1.9%, 농림어업 1.3% 순이었다.
제조업 중에서는 전기·전자기기 16.9%, 화학제품 6.7%, 수송장비 6.5% 등의 비중이 높았다.
지역산업연관표는 특정 지역의 경제 현황을 독립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지역 경제구조를 종합적으로 점검, 지역간 및 산업간 항호 연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됐다.
특히 산업특화 정도를 보여주는 산업별 입지계수를 보면 제조업과 건설업이 각각 1.097과 1.102를 기록, 이들 산업에 특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0.898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산업별 입지계수는 1을 기준으로 높으면 특화, 낮으면 그 반대다.
또 대외의존도는 22.6%로 전국 평균 21.4%보다 1.2%p 높았고, 무역의존도는 전국 평균(77.8%)에 비해 8.6%p 높은 86.4%로 집계됐다.
수출입 상품 비중은 공산품이 각각 92.9%, 79.2%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세부 품목으로는 전기·전자기기가 54.8%, 31.7%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이들 산업의 부가가치 및 취업 유발 효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지역 산업별 부가가치 유발계수는 서비스업(0.897), 농림어업(0.841), 건설업(0.818), 광업(0.810), 제조업(0.643) 순으로 높았고, 취업 유발계수는 농림어업(52.4), 서비스업(18.2), 건설업(17.0), 제조업(11.7) 순이었다.
한은 경기본부 관계자는 “지역내 고용·생산능력 제고를 통한 경제복원력 강화 및 국내외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를 줄일 수 있는 대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 “경기 하강시 충격 완화를 위해 주력업종과 수출품목 다각화, 부품소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신성장동력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