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당초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산업 집중도가 높거나 국내외 가격차가 클 것으로 보이는 30개 품목을 우선 선정했으나 물가불안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고려, 가격불안의 가능성이 큰 품목 18개를 새로 추가했다.
정부는 이들 48개 품목을 대상으로 시장구조 및 경쟁환경을 상시로 감시, 부당행위가 드러나면 공정거래위원회, 국세청 등 관련 부처를 통해 대응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 공정위 등 정부 당국이 이달말께 국가정책조정회의를 통해 48개 품목에 대한 가격안정 대책 등 ‘생활필수품 가격안정대책’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에 선정된 가격감시 조사대상 48개 품목은 정부가 2008년부터 경쟁동향, 가격 등을 조사해온 휘발유 등 11개 품목, 달라진 소비패턴을 반영해 올해 새롭게 선정한 디지털 카메라 등 19개 품목, 최근들어 가격불안정성이 높아졌다고 판단되는 라면 등 18개 품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