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날 덕양구청 대회의실에서 지역 국회의원과 김필례 시의회 의장, 도·시의원, 공무원,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주민기피시설 대책 연구용역 최종 보고회 및 시민토론회’를 개최하고, 그간의 상황을 시민들에게 특별 보고를 통해 ‘기피시설로 인한 주민 피해사례, 서울시의 부당한 태도 그간의 주민기피시설의 문제해결 노력 및 향후계획’을 밝혔다.
특히 이날 용역기관의 주민기피시설 최종 보고서를 통해 시 관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서울시 장사시설로 인한 고양시민의 피해는 1조3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됐다.
이 보고서는 서울시 운영 주민기피시설로 인해 40년간 고양시민들의 심각한 고통과 희생이 있었다며 주민기피시설의 설치와 운영으로 발생한 문제는 설치·운영의 주체인 서울시가 문제해결을 주체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고양시민들과 서울시의 갈등으로 인해 정상적인 시설가동이 불가능 할 경우 서울시민들이 겪어야 할 혼란은 과거 김포매립지 갈등 사례와는 비교 할 수 없는 수준일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최성 고양시장은 “서울시에 대한 고양시의 요구사항인 난지하수처리장은 서울시 권역 내 탄천·서남·중랑하수처리장처럼 지하화, 현대화, 공원화해주고 벽제화장장도 현대화 시설로 지하화·공원화해 서울 원지동 추모공원처럼 종합의료시설 등에 상응하는 조치를 해달라는 보편적 권리”임을 주장했다.
이어 “고양시 관내 서울시 소유의 주민기피시설에 대한 무대책은 고양시민들의 범시민적 의지를 짓밟고 있는 것”이라며 “서울시가 문제 해결 방법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강경하게 대처하겠다”고 경고했다.
한편 최 시장은 “지난 9월부터 주민기피시설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대책회의, 토론 등 대화요청을 수차례 했지만 지금까지 단 한 차례의 성의 있는 답변도 없었다”며 서울시의 성의 없는 태도을 강도높게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