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5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방역無知로 전염원 발생 살처분땐 전문인력 필요”

구제역 발생지역 투입 공무원
89% “관련 교육 받은적 없다”
71% “정신적인 후유증 경험”

구제역 발생지역 가축 살처분에 참여하고 있는 공무원들 다수가 “살처분만은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나라당 김영우(포천·연천) 의원이 6일 구제역 발생 지역에 투입된 포천·연천 지역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살처분을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공무원이 담당하기에 무리이며, 오히려 가축방역업무의 무지로 전염원을 발생케 한다”고 다수가 대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가축 살처분 과정에서 겪고 있는 애로사항과 문제점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 3일부터 6일까지 살처분에 참여한 공무원만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설문 응답자 211명중 99.5%가 남성이며, 연령은 30~40대가 84.3%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살처분에 참여한 공무원의 평소 업무와 살처분과의 업무 연관성을 묻는 질문에 187명(88.6%)이 업무와 ‘전혀 연관성 없다’고 답했으며, 평소 살처분과 관련한 전문지식을 ‘전혀 교육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자도 188명(89.1%)에 달했다.

동원된 공무원의 89.1%(188명)가 ‘행정지침에 따라’ 참여하게 되었으며, 동원된 기간은 5일 미만이 184명(87.2) 다수였으나 살처분 이후에도 계속 검문초소에서 주야 교대로 소독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살처분하며 가장 힘든 점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살아있는 가축을 매장함에 따른 ‘심리적 부담’이 51.2%(108명)로 가장 높았으며, ‘수면부족 등 육체적 피로’가 28.9%(61명), ‘살처분으로 인한 소음 및 악취’가 12.8%(27명)로 나타났다.

살처분 이후 ‘정신적 스트레스’나 ‘악몽 등 수면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이 150명(71.1%)으로 살처분으로 인한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다치거나 질병에 걸린 응답자도 30명(14.2%)나 됐다.

이번 설문조사에 대해 한나라당 구제역대책 특별위원회 간사인 김영우 의원은 “구제역 방역에 참여했던 공무원이 과로나 사고로 3명이 사망하고 20여명 중경상을 입는 등 해당지역 공무원들이 육체적·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받고 있으며, 지자체 업무가 마비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이런 문제는 구제역 발생초기 대응체계가 해당 지방자치단체 중심으로 돼 있어 지역 공무원들에게 부담 가중됐기 때문”이라며 “앞으로 살처분 전문 인력을 사전에 확보하는 등 방역시스템을 구축하고 살처분으로 인한 육체·정신적 피해에 대해 상담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을 위해 노력하겠다”고밝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