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기흥호수(신갈저수지)의 악취를 유발한 오염의 주범은 인근 아파트단지에서 흘러든 오수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권오진 도의원(용인)은 18일 보도자료를 내고 “신갈저수지 오염의 주 원인은 분뇨”라며 “우기 때 신갈저수지 인근 기흥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용량을 넘어서는 분뇨 등 오수와 우수(빗물)가 하수관로에 함께 유입되며 맨홀을 통해 저수지로 방류됐다”고 밝혔다.
권 의원은 “2005년 하수종말처리장 준공에 맞춰 저수지 상류 대명·두진·현대모닝 등 아파트단지의 정화조가 폐쇄된 뒤 오수관을 통해 분뇨를 내보냈지만 오수와 우수가 함께 섞여 나오는 신갈 구시가지의 하수관로와 만나며 결국 아파트단지의 분뇨도 신갈저수지로 들어갔다”며 “아파트단지의 오수관을 따로 설치한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는 환경오염문제를 간과한 명백한 행정오류이고, 분뇨 등 오수 성분이 저수지 바닥에 쌓이며 수질개선 준설비용은 1천억원이 넘어갈것”이라며 “관련 책임자의 고발 조치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신갈저수지는 여름철 두께 20∼30㎝의 녹조층이 저수지 북서쪽 상류를 중심으로 형성되면서 악취가 발생, 원인을 놓고 의견이 분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