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건강] 부러지지 않고 꺽이는 녹봉골절(綠棒骨折)

여리고 약한 어린이뼈, 치료 끝나도 지켜봐야


● 꺾이지만 부러지지 않는 ‘어린이 골절’ 대처법

5살 민준이는 놀이터에서 앞으로 넘어지면서 땅을 짚은 바람에 팔을 다쳤다.

민준이 부모는 민준이에게 특별한 외상이나 붓기가 없어 상처에 소독제를 바르고 붕대를 감아 상처를 치료했다. 그러나 며칠이 지나도록 민준이는 계속 칭얼댔고 혹시나 싶은 마음에 병원에 데려갔을 때, 부모는 깜짝 놀랐다. 팔에 미세하게 골절이 있었던 것이다. 더 늦었으면 혹시 뼈가 잘못 붙었을 수도 있었다는 말에 부모는 가슴을 쓸어 내렸다.



소아나 어린이의 골절을 녹봉골절(綠棒骨折)이라고 한다. 녹봉골절은 나무의 푸른 줄기가 꺽어지긴 하지만 부러지지 않는 특성이 아이들의 뼈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아이들의 뼈는 수분이 많아 어른에 비해 부드럽고 유연해 완전히 부러지기보다 미세하게 금이 가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일반적인 골절 증상과 달라 진단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척추관절전문 서울 튼튼병원 은평점 관절센터 이승용 원장은 “일반적으로 뼈가 부러지면 우선 붓기와 통증이 심하고 골절된 부위의 형태가 변하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녹봉골절의 경우에는 이런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아이의 경우 의사표현이 서툴러 증상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엑스레이 검사를 해도 아이들의 뼈가 연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견이 쉽지 않다”고 설명한다.

소아골절의 가장 흔한 원인은 놀이나 운동 중에 넘어지거나 뛰어내리다가 팔을 뻗은 채 손을 지면에 짚으면서 골절을 당하는 경우인데 손목과 앞 팔뼈, 팔꿈치, 빗장뼈 등의 순서로 잘 다치게 된다. 또한 닫히는 문에 손이 끼어 손가락 골절도 빈번하다.

다행스럽게도 어린이 골절이 발생했을 때는 대부분 골절부위를 맞추고 석고 고정으로 일정기간 고정하는 것으로도 치료가 잘 되는 편이다.

그러나 초기 진단이 부적절하게 된 경우, 이미 골유합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뼈가 기형으로 자라나 장애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골절이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뼈 붙었다고 해도 2~6개월 지켜봐야

어린이 골절로 인해 장애가 일어나는 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성장판의 손상, 잘못된 유합, 과성장의 경우다.

어린이의 관절에는 연골로 이루어진 성장판이 있는데 이 성장판은 인대보다 약한 특징이 있다. 관절을 다칠 때 성인은 인대부터 찢어지는 반면에 어린이들은 성장판 골절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미국의 경우 어린이 골절의 약 20%,가 성장판 골절이며 이중 5%는 뼈가 휘거나 자라지 않는 등 기형적 성장을 하게 된다. 성장판이 손상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골절로 인해 성장판이 손상된 경우 치료 후 약 4개월이 지나야 후유증의 여부에 대해 알 수 있기 때문에 만약 성장판 손상이 있다면 차후에 꼭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야 한다.

어린이 뼈는 빨리 아문다. 같은 골절이라도 성인이 4주 정도 걸릴 때 어린이는 1~2주 정도면 뼈가 붙는다. 뼈에 혈액을 공급하는 막인 골막이 어른보다 훨씬 두꺼워 혈액공급이 원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만큼 뼈가 빨리 자라기 때문에 자칫 골절부위를 맞추는 시기를 놓치거나 치료과정 중에 골절 부위가 어긋나서 다시 뼈를 맞추어야 하는 경우엔 이미 골유합이 시작돼 치료가 어려워진다.

특히 손가락에 실금이 가거나, 야구공이나 농구공에 맞아 손이 펴지지 않는 추지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반 골절에 비해 통증이 크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게 돼 후유증이 남으면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손가락을 다쳤을 때 손상부위의 붓기가 쉽게 가라앉지 않거나, 붓기가 가라앉은 후에도 퍼렇게 멍이 들며 아이가 자꾸 통증을 호소 할 때는 뼈의 손상을 의심해봐야 한다.

한편 치료가 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퇴뼈가 붙는 과정에서 다친 쪽으로 과성장이 와서 양쪽의 균형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다. 과성장은 다친 부위에 혈액의 공급이 집중되며 다친 쪽 다리가 그렇지 않은 쪽보다 더 많이 자라게 되는 경우다. 이런 경우에 대비해서 골절이 일어난 부위를 일부러 짧게 맞추어 놓고 길이를 맞추는 치료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듯 어린이 골절은 어른과 달라서 기브스를 푼다고 해서 완전히 치료가 끝난 것이 아니다. 차후에 발생할 성장장애나 기형을 대비하기 위해서 기브스를 푼 이후에도 2~4개월에 한번씩 전문병원을 방문해 뼈가 제대로 자라고 있는지 검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도움말 : 서울 튼튼병원 은평점 관절센터 이승용 원장>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