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고위 공직자들의 잇따른 음주운전과 추문, 이권개입설 등의 공직기강 해이와 함께 외부 줄서기, 행정력 부재 등의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이번엔 서기관 정직이란 초유의 사태를 맞게됐다.
특히 이번 일로 일정기간 시정수행의 차질이 불가피한 것은 물론 서기관 등 고위 공직자들의 연쇄적인 인사이동과 대대적인 공직혁신이 뒤따를 것이란 전망이어서 주목된다.
17일 경기도와 용인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한낮에 음주상태로 교통사고를 내 징계에 회부된 A서기관이 정직 2개월이란 중징계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김학규 시장이 야심차게 추진한 시민배려 체감행정체제 개편의 핵심부서인 문화복지국은 당장 국장 공석이란 비상사태에 처했으며, 시 관계자들은 사태수습과 대책마련에 부심한 상태다.
더욱이 B서기관 등의 노골적인 특정업체 밀어주기와 이권개입설을 비롯해 지난주 시청 홈페이지를 뜨겁게 달군 C사무관의 추문, 지방자치법과 조례위반, 인사파문, 언론전 등에 미숙한 정책집행으로 연이은 시장실 점거 사태 촉발, 시의회와의 막장 대립 등 시정 차질을 자초한 D, E, F 사무관 등을 둘러싼 논란도 뜨겁다.
이렇듯 시정수행의 핵심역할을 해야할 고위 공직자들이 제몫을 못하면서 김학규 시장과 용인시 공직사회에 온갖 비난과 우려의 목소리가 부메랑으로 되돌아와 ‘조직에서 퇴출’등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민 조모(28·김량장동)씨는 “엄격한 공직수행과 품위유지에 앞장서 믿음과 존경을 받아야 할 고위 공직자들이 거꾸로 오히려 시정과 용인발전을 저해하는 철밥통이 되고 있다”면서 “한시라도 빨리 일벌백계의 분명하고 단호한 대책과 공직혁신으로 시민들의 시정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공직자도 “계속되는 추문과 논란에 공직자라고 말하는 것조차 부끄러울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라며 “더 이상 조직과 후배 공직자들에게 부담을 줄게 아니라 용퇴 등 스스로 책임지는 결단을 내려주기를 바라고 있다”라고 말했다.
/용인=최영재·김태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