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日 후쿠시마 오염 심각 까나리 출하정지

세슘 29배 검출 어패류 첫 섭취제한… 20㎞내 ‘경계구역’ 지정 주민 출입금지

일본 정부가 어패류에 대해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처음으로 출하 정지 명령을 내렸다.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는 20일 원자력재해대책특별조치법에 의거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후쿠시마산 까나리의 출하 중단과 섭취 제한을 후쿠시마현 지사에게 지시했다.

지금까지 후쿠시마산 우유와 일부 야채에 대해서는 출하 중단과 섭취 제한이 있었지만 어패류는 처음이다.

일본 정부는 지난 4일 이바라키(茨城)현 앞바다에서 잡은 까나리에서 기준(1㎏당 2천베크렐)을 크게 넘은 1㎏당 4천80베크렐의 요오드가 검출됐지만 출하중단 조치를 취하지 않았었다.

간 총리가 이날 후쿠시마산 까나리에 대해 출하중단과 섭취제한 조치를 취한 것은 어패류의 방사성 물질 오염이 심각해졌기 때문이다. 후쿠시마현이 현내 이와키시 앞바다에서 18일 잡은 까나리의 방사성 물질을 조사한 결과 기준(1㎏당 500베크렐)의 약 29배에 달하는 1만4천400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됐다.

이는 같은 장소에서 지난 7일 570베크렐, 13일엔 1만2천500베크렐의 세슘이 검출됐던데 비해 상황이 크게 악화한 것이다.

요오드는 기준치(1㎏당 2천베크렐)의 약 2배인 3천900베크렐이 검출됐다. 이는 13일의 1만2천베크렐을 하회했다. 후쿠시마현은 현재 주민들과 어업회사의 출어를 자제토록 하고 있고, 어패류 출하도 중단하고 있다.

이와함께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반경 20㎞권내를 ‘경계구역’으로 지정해 주민의 출입을 조만간 금지하기로 했다고 아사히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이는 원전 사고 직후 정부가 20㎞권내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렸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어 주민들이 드나들면서 빈집털이가 일어나는 등 방범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

원유철(한·평택갑) 국회 국방위원장은 20일 국회에서 리차드 만 주한 뉴질랜드 대사의 예방을 받고 천안함 사태와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뉴질랜드 정부가 신속하게 대북 규탄 성명을 발표하고, 우리 정부의 입장을 강력하게 지지해준 데 대해 감사를 표했다.

원 위원장은 특히 뉴질랜드는 6·25 전쟁 당시 포병 1개 대대 등 약 6천20명이 참전해서 45명이 전사하는 등 우리를 위해서 피를 흘려준 고마운 혈명이라며 앞으로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리차드 만 대사는 뉴질랜드는 현재 UN 정전협의회에 미군 다음으로 많은 3명을 파견하고 있다며, 양국간 공동 군사 훈련 확대등 군사 분야에서 더욱 많은 공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리차드 대사는 “당초 작년 방북하기로 했지만 천안함과 연평도 사태로 연기됐고, 다음 달인 5월 중순경 북한을 방문할 예정으로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고, 뉴질랜드가 공개적으로 우리 정부의 입장을 지지한 데 대해 북한당국이 불편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원 위원장은 “방북을 통해 우리 정부의 확고한 의지를 전달해달라”며 “뉴질랜드가 남북 평화통일의 가교 역할을 훌륭히 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리차드 대사는 우리 군에서 진행 중인 ‘국방개혁 307’에 대해 깊은 관심을 나타내며 국방개혁을 위한 관련법과 우리 국민의 안보 의식, 한반도 비핵화 입장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을 나누었다.

원 위원장은 “‘국방개혁은 천안함과 연평도 했태를 겪으면서 군의 최고 지휘부 개편을 포함해 명령체계와 시스템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라며 “공청회 등을 통해 각계 각층의 의견을 조율해 바람직한 방개혁안이 도출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뉴질랜드의 국방개혁 사례가 많은 참고가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