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재보선 선거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26일 현재 성남 분당을 결과가 이번 재보선 승패의 기준점이라는 게 정치권의 공통된 중론이다.
이는 이번 분당을 성적표에 따라 수도권 민심의 향배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여야의 당내 역학관계는 물론, 정치지형까지 뒤흔들 기폭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막판까지 승부를 예견할 수 없는 이번 재보선 만큼이나 이후 정국 상황도 시계 제로인 셈이다.
우선 선거일을 하루 앞두고 한나라당은 강원지사 보선에서, 야권은 경남 김해을 보선에서 각각 우세를 주장하고 있다.
성남 분당을 보궐선거는 개표 마감까지 초박빙일 것이라는 관측 속에 여야는 저마다 이곳에서의 승리를 기대하며 ‘2:1’ 상황을 바라고 있다. 반면 여든, 야든 ‘3:0’의 상황이 될 경우 전승한 쪽은 국정 주도권을 쥐지만, 전패한 쪽은 극도의 혼란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한나라당이 강원·분당을에서 승리할 경우 이명박 대통령의 하반기 국정 장악력이 강화되고 ‘안상수 대표 체제’도 내년 총선까지 안정적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하지만 분당을 패배시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서 총선 위기감이 증폭되면서 지도부 교체론과 함께 공천에 개입한 인사들에 대한 책임론도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분당을 출마라는 승부수를 던진 민주당 손학규 대표의 당락에 따라 야권의 지형도 변화가 불가피하다.
손 대표가 승리한다면 당 장악력 제고는 물론 명실상부한 야권의 유력 대권 주자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대의 경우 당내 위상 저하는 물론 대권주자로서도 치명타를 당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가운데 국민참여당이 야권 단일후보로 나선 김해을에서 한나라당이 승리하면 김태호 전 경남지사는 잠재력 부각과 함께 유력 정치인으로서 화려한 정치 재기에 성공할 수 있지만 패하면 내년 총선을 기약할 수 밖에 없게 된다.
반대로 참여당이 승리할 경우는 유시민 대표의 위상이 올라가면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야권내에서의 목소리도 커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