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은 단백질 함량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두부제조용 콩 ‘새단백’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전통육종기술로 개발된 새단백 콩은 단백질 함량이 48% 이상으로 일반 콩(38~40%) 보다 월등히 높고, 불마름병 등 각종 병해와 재해에 강하며 밀식재배에서도 쓰러짐에 강해 재배가 쉽다.
특히 새단백 콩은 식품원료로 사용시 같은 양의 일발 콩에 비해 두부가 18% 더 많이 생산되며 맛과 향, 씹을 때의 조직감 등이 기존 품종으로 제조한 것 보다 좋다.
가공업체의 평가결과 새단백 콩의 두부수율은 371%로 국내에 가장 널리 보급된 ‘대원콩(314%)’에 비해 수율이 57%p(생산량 기준 18%)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재래식 된장이나 간장 발효시 효소활성이 높으며 장류식품의 구수한 향미와 감칠맛을 더해주는 아미노태 질소와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 장류용으로도 우수하다.
농진청은 새단백 콩 개발로 두부 가공업체의 가격경쟁력 개선을 통한 국산콩 생산 확대 및 연간 84억원의 원료콩 수입 대체 등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기종 농진청 기능성작물부장은 “새단백 콩 개발이 가공업체의 국산콩 이용이 증대 및 국산콩 생산 확대로 이어져 수입 두부용 콩을 점진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진청은 현재 새단백 콩을 품종보호 출원 중이며 올해부터 시범재배를 거쳐 농가에 보급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