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이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율성을 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인천지역은 지난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총 23만7천805명으로 총인구 275만8천명에 대비 8.6%에 이르고 있다.
이 가운데 79세까지의 노인 중 절반 이상이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나, 실제 군ㆍ구 노인 일자리 사업 참여인원은 5.5%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노인복지 전문가들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신규 일자리 발굴과 전문적인 노인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노인일자리 사업은 교통도우미나 환경지킴이 등 단순노무직에 집중돼 있어 노인들의 만족도가 떨어질뿐 아니라 일자리 안정성에서 있어서도 불만이 쌓이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노인들이 퇴직전 기술 및 전공 등을 계속 발휘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일자리를 만들고 지역 내 관련 기업체와의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어 참여하는 사업에 따라 임금의 시간당 단가 차이로 인한 차별성 논란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일자리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노인들 대부분이 생계유지형이어서 시간당 단가가 높은 사업을 신청하지만,대부분 탈락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는 노인이 노인을 돌보는 ‘노노 홈케어’의 경우 시간당 4천423원인 반면, ‘워킹스쿨버스 안전지킴이’는 6천250원, ‘우리동네 푸르미’는 6천666원을 받는 등 저임금에 임금체계 마저 제각각이다.
이 때문에 적은 임금을 받는 노인들은 시간당 단가 차이로 상대적으로 소외감을 받는다며 단가를 동일하게 적용해 주길 원하고 있다.
이에 대해 지자체 관계자는 “참여를 희망하는 노인들에게 적성과 경력에 맞는 일자리 제공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현재 본인이 선택한 사업에 대해서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