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가 18일 서울시와의 관내 기피시설에 대해 아무런 합의도 없었다고 밝혀 그동안 지역 내에서 논란이 일단락 됐다.
다만, 협의가 깨진 것은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 양 시(市)간 조율은 계속 이어진다.
고양시는 이날 서울시와 기피시설 문제를 두고, “양 도시간 어떤 공식 합의도 없었다”고 해명했다. 고양시의 이 같은 해명은 지난 11일 손범규·김태원 의원이 기피시설 문제 합의를 발표하면서 비롯됐다.
시는 이날 시민컨퍼런스룸에서 시민설명회를 갖고 “앞으로 기피시설 문제는 계속 논의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시는 지난 17일 서울시가 오세훈 시장 명의의 공문을 보내 ‘서울시는 2008년부터 고양지역 국회의원과 장사시설, 난지물재생센터와 관련 협의를 진행해 주민 지원방안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마련해서 추진할 계획’이라는 답변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또 4천500억원 지원 또한 근거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면서 서울시는 문제해결을 위한 TF팀 운영과 합의 내용에 대해 함께 발표 및 정치적 해결 지양 등을 주문했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 3월26일 기피시설 관련, 해결책 마련을 위한 협상을 진행하기로 하면서 합의한 협의내용의 비공개 원칙을 깨지 않았다고 보고 협상은 계속 이어나가기로 했다.
고양시 관계자는 “두 국회의원의 합의 발표로 마치 기피시설 문제가 해결된 것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어 시민설명회를 하게 됐다”며 “기피시설 문제는 서울시와 고양시가 해결해야 할 사안으로 시는 온전한 해결책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해 서울시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손범규(고양 덕양갑)·김태원(덕양을) 국회의원은 지난 1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고양시 소재 ‘벽제화장장’, ‘난지물재생센터’ 시설에 대해 문제를 해결키로 합의했다”며 ‘벽제화장장’을 전면 리모델링하고, 지하화된 총 33기의 새로운 첨단 화장시설을 신축 등에 합의했다고 밝혔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