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G20국회의장 회의’가 19일 국제적 난제에 대한 공동 대응과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개막됐다.
이날 오전 8시30분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의 개회식을 시작으로 이틀간 일정으로 막을 올린 G20 국회의장 회의에는 국회의장 참석국 14개국, 부의장 등 대리 참석국 12개국 등 총 26개국이 참가했다.
회의는 ‘안전한 세계, 더 나은 미래’를 구호로 내걸었며 ‘공동번영을 위한 개발과 성장’을 핵심 의제로 이틀간 총 6개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의장국 대표인 박희태 국회의장은 개회사를 통해 “지금 인류는 글로벌 자연재해, 빈곤과 테러, 기후변화, 원자력의 안정적 관리 등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한 나라의 힘만으로는 풀 수 없는 어려운 문제이므로 여러 나라가 힘을 합쳐 머리를 맞대고 공동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의장은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속담을 인용하면서 “우리 모두 지혜를 다해 우리의 소망인 보다 나은 안전한 세계, 보다 나은 미래를 창출해내는데 온 지혜를 다하자”고 호소했다.
첫날은 세계 평화·반테러를 위한 의회간 공조전략(제1·2세션), 지구촌 안전을 위한 국제 공조전략(제3세션), 선진국개발 경험 공유를 통한 개발도상국 발전전략(제4세션)을 주제로 오전과 오후에 걸쳐 총4개 세션이 진행됐으며 마흐멧 알리 샤힌 터키 국회의장 등 16명의 국회의장·부의장이 주제발표에 나섰다.
G20 국회의장 회의는 둘째날인 20일 오전 ‘금융위기 이후 동반성장을 위한 국제공조와 의회의 역할’을 주제로 제5, 6세션을 개최한 뒤 폐회식에서 참가국의 합의를 담은 ‘서울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공식 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지구촌 안전을 위한 구체적 공조 방안이 이 선언문에 담길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