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0개월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아 서민 가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은행은 이번 주 양도성예금증서(CD) 연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지난주 대비 0.10%p 올린 연 5.27~6.57%로 고시했다.
이는 지난 2009년 1월 초 이후 약 30개월만에 최대치다.
우리은행의 주택대출금리는 20일 현재 4.86~6.30%로 지난주 대비 0.07%p 상승했고, 신한은행도 같은 기간 0.07%p 상승한 5.16~6.56%를 기록했다. 최고 금리 기준으로는 전년동기대비 각각 1.13%p, 1.11%p 올랐고, 올초 대비 0.60%p, 0.58%p 상승한 수치다.
CD보다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은 코픽스 연동 주택대출금리 역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우리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 주택대출 금리(6개월 변동형)는 3.96~5.60%로 최고금리가 연초에 비해 0.35%p, 전년대비로는 0.69%p 상승했다.
하나은행과 국민은행도 각각 4.44~5.94%와 4.17~5.57%로 전년대비 0.54%p, 0.53%p 인상됐다.
은행권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CD와 코픽스가 동반 상승하며 은행권의 주택대출금리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최근 개인 금융부채가 1천조원을 돌파하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등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개인 금융부채는 3월말 현재 1천6조6천억원으로 8년여만에 2배 정도 급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1천조원을 넘어섰다. 1년간 대출금리가 1.13%p 오를 경우 연간 이자 부담은 11조4천억원가량 불어나게 된다.
전문가들은 “최근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어 대출금리 급등세가 가계의 이자 부담을 가중시키고 소비 둔화를 촉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