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기도 건설경기 침체’ …미분양·가계부채는 늘어만 가고

최근 수주액·주택 매매가·아파트 거래량 감소 지속

경기지역 건설경기의 침체가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높은 가계부채 수준, 주택담보대출 금리 추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21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발표한 ‘최근 경기지역 건설경기 동향과 시사점’에 따르면 최근 경기지역의 각종 건설경기 지표는 지난해 3분기부터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건설수주액은 2010년 2분기(99.8%) 전년동기대비 증가에서 3분기(-46.7%) 마이너스로 돌아선 뒤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고, 같은 기간 건축허가면적(35.6%→-49.6%)과 건축착공면적(52.7%→-14.1%)도 감소로 전환된 이후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주택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 매매가격이 전년대비 2.3% 하락했고, 아파트 거래량도 13.5% 줄었다. 같은 기간 전국 기준 주택매매가격은 1.9% 올랐고, 아파트 거래량은 8.7% 감소에 그쳤다.

아파트 분양 실적 역시 전년대비 60%(9만5천872가구→5만9천554가구) 수준에 머문 반면 전국 미분양주택 중 경기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7년 12.2%에서 지난 3월 27.3%로 15.1%p 상승했다.

이는 주택가격 약세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 저렴한 보금자리주택의 대규모 공급으로 민간주택 수요 감소,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금리 상승으로 인한 가계부담 증가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한은 경기본부는 설명했다.

경기지역 내 보금자리주택 공급 계획 규모는 서울(2만9천가구)보다 6배 높은 수준인 16만5천가구로 남양주 별내지구 등에서는 보금자리주택 조차 미분양이 발생, 민간주택 수요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해 12월 평균 4.67%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지난 4월 현재 4.88%를 기록, 4개월 새 0.21%p가 증가했다. 이에 따라 경기지역 총 가계부채 규모도 지난해 말 211조2천억원에서 3월 212조9천억원으로 1조7천억원 늘었다.

한은 경기본부는 가계대출 금리가 0.5%p 상승할 경우 경기지역 전체 가계에서 연간 1조1천억원의 이자를 추가 부담할 것으로 추정했다.

한은 지난해 7월 이후 5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25%p(2.00%→3.25%) 인상한 바 있다.

그러나 금융권에서는 올해 내 한은이 기준금리를 3.75% 수준까지 올릴 것으로 예상, 향후 가계부담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한은 경기본부 관계자는 “주택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심리 위축, 높은 가계부채 수준, 가계대출금리 추가 상승 가능성 등의 원인으로 당분간 경기지역 건설경기가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건설부진을 완화를 위해선 신흥국 진출 등 사업다각화 추진, 녹색건설시장 진출, 지속적인 구조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