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의 ‘당직·공직선거 개혁안’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이 표면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지난달 10일 개혁특위가 개혁안 초안을 최고위원회의에 올리면서다.
최고위원회의는 전날 밤 4시간여 동안 개혁안을 논의한 데 이어, 8일 오전 비공개회의를 다시 열었으나 이견만 확인한 채 결론을 내지 못했다.
계파별 입장이 첨예하게 맞서는 부분은 국회의원 후보 선출과정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의 참여비율이다.
당 개혁특위는 국회의원 후보자 선출에 일반 국민이 100% 참여하는 완전국민참여경선제를 다수안으로 채택했지만, 소수안으로 당원이 50%, 일반국민이 50% 참여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당내 조직력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정세균 최고위원은 당원의 참여를 높이는 공천개혁안을,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손학규 대표와 정동영 최고위원은 일반 국민의 참여비율을 높이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선호하고 있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당원과 국민이 50%씩 참여해야 한다”며 “당원을 배제하면 정당정치가 후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반면 정동영 최고위원은 “당원과 국민이 50%씩 참여해야 한다는 견해는 칸막이를 만들자는 것으로 기득권을 보호하려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손 대표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은 채 논의를 지켜보고 있지만 오픈프라이머리에 긍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후보 선출시 표의 가치를 조정하는 ‘지역별 인구비례 보정’도 쟁점이다. 즉, 호남 당원이 영남 당원보다 월등하게 많아 표 가치의 불균형이라는 문제가 발생하는 만큼 호남표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국회의원 후보 선출과정에서 배심원제 도입여부를 놓고도 입장이 엇갈린다.
정세균 최고위원은 배심원제 도입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평가의 공정성을 위해 배심원 숫자를 대폭 늘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정동영 최고위원은 “소수의 엘리트나 심판관보다는 다수의 일반 국민이 훨씬 현명하다”며 배심원제에 반대하고 있다.
이처럼 각 진영이 대립하는 것은 사안의 민감성 때문이다.
당내 대권주자들은 이번에 확정되는 개혁안이 내년 총선에서 공천의 주도권은 물론이고 당내 대선 후보 결정의 향배를 결정할 핵심 요인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