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들어 후진국 병으로 알려진 말라리아에 감염된 국내 환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한나라당 이윤성(인천 남동갑) 의원이 질병관리본부로부터 제출받은 ‘말라리아 환자 발생현황’에 따르면 이날 현재 전국에서 404명이 학질로 알려진 말라리아에 걸린 가운데 경기도가 17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과 인천이 각각 63명, 강원 14명으로 80%가 수도권 및 강원도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발생한 국내 말라리아 환자 1천345명의 24%가 군인이며, 나머지 환자 대부분도 접경지역 여행자나 근로자라는게 질병관리본부의 설명이다.
말라리아는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정부가 관리하는 전염병으로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말 토착 말라리아가 완전 퇴치된 것으로 보고돼 왔다.
하지만 북한에서는 2001년에 30만명의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아직도 유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전선을 통한 모기 이동을 우려한 우리 정부가 지난 2001년부터 WHO(세계보건기구)를 경유,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해 대북 말라리아 지원사업을 벌여왔으나 2010년 천안함 피격 및 연평도 포격 사건 후 이 사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지난 2009년의 경우 우리 정부가 현금과 현물로 약 109만6천달러(5억3천만원) 상당을 북한에 지원해, 북한 주민 최대 185만 명이 예방 및 치료 혜택을 봤다.
올들어 지난달 초 경기도와 인천시도 두 차례에 걸쳐 5억운 상당의 말라리아 진단키트와 방충망 등을 지원하는 말라리아 방역 지원활동을 재개한 바 있다.
이 의원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북한의 사과와 재발 방지가 선행돼야한다”고 전제한 뒤 “얼룩날개모기가 매개체인 말라리아의 경우 북한의 장마 등에 큰 영향을 받고 있는 만큼 우리 정부도 인도적 차원에서의 약품 지원을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