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가 시장실 이전과 함께 갑자기 시청사에 설치된 비상용 엘리베이터에 민원인 등의 접근을 일방적으로 차단해 말썽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사실상 시장 등 일부 공무원만 이용하는 전용 엘리베이터로 전락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17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시는 행정안전부의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에 따라 지난 12일 애초 시청사 4층에 있던 시장실의 규모를 일부 축소해 7층으로 옮기면서 비상용 엘리베이터 입구에 보안인식기를 새롭게 설치했다. 이 때문에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보안카드를 갖고 있는 일부 시 공무원들만 이용이 가능하고, 나머지 시민 등 민원인들은 아예 타고 내릴 수 없게 됐다.
또 대부분의 공무원들도 예전과는 달리 비상용 엘리베이터 앞에서 발길을 돌리며 다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비상용 엘리베이터는 애초 설치목적에 맞지 않게 시장 등 일부 공무원들이 독차지하는 전용 엘리베이터로 둔갑한 것이다.
시민 이모(36·동백동)씨는 “수원, 성남시 등 다른 지자체를 방문했을 때도 비상용 엘리베이터 자체를 막아 놓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며 “타 시·군은 시장전용도 시민에게 돌려주는 판에 시민 모두의 비상용 엘리베이터를 그럴 듯한 핑계로 시장 전용 엘리베이터로 운영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박모(40·풍덕천동)씨도 “평상시 다른 엘리베이터와 마찬가지로 운행되다가 비상시에만 소방용으로 전환된다는 기본 상식마저 없는 것 아니냐”며 “말로만 시민 우선을 부르짖는 일부 공직자의 그릇된 인식과 특권의식이 빚어낸 행정의 한 단면을 보는 것 같아 마음이 씁쓸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관리에 어려움이 있어 여러 방안을 검토하다가 보안조치를 하게 됐는데 결과적으로 시장과 공무원만 이용이 가능해진 건 맞다”며 “직원들은 보안카드에 기록이 남아 실제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사실을 확인 해 줄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