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가 추진중인 사업이 잇따라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시는 수년 동안 국립자연사박물관 유치사업을 추진해왔으나 얼마 전 세종시로 장소가 변경됐고, 실효성이 불확실한 광역형 종합장사시설의 건립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21일 시에 따르면 시는 화장장과 자연장지, 봉안시설 등을 갖춘 광역단위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인근 시군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 18일 오전 화성시의회 의원총회에서 광역형 종합장사시설 설립을 위한 추진보고회를 가졌다.
시는 이날 “2010년도 기준으로 경기도 화장률이 74%에 이르고 있다”고 전제한 뒤 “시민들이 인근 도시로 원정 화장을 하면서 경제적, 신체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며 종합장사시설 건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는 입지선정과 관련해 주민갈등을 최소하기 위해서 시민대표와 시의원,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민간 중심의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덧붙혔다.
하지만 일부 시의원들은 “화장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 사업에 대한 절대 필요성과 수요예측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미비,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 시의원은 “시의 분위가 이미 장소를 정해 놓고 시설하려고 하는 것 같다”면서 “지자체들이 화장장 사업 때문에 숱한 민원에 시달리고 있다”면서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그는 또 “수년간 추진해온 국립자연사박물관 추진사업이 물 건너 갈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막대한 사업비가 들어가고 사업의 실효성도 의심되는 광역 화장장사업을 추진하려고 고집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심재만 교육복지국장은 “현재 인근 7개시가 이번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광역 형으로 사업을 추진할 경우 국비 지원 등이 가능해 재원마련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