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6일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불출마를 선언하고, 박원순 변호사(희망제작소 상임이사)에 대한 지지 의사를 밝혔다.
또 박 변호사는 한명숙 전 총리,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 이날 전격 회동을 갖고 야권후보 단일화를 통한 한나라당과의 1대1 구도 구축에 합의하면서 서울시장 선거전 양상이 급변하고 있다.
안 원장은 이날 오후 세종문화회관에서 박 변호사와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박 변호사가 우리 사회를 위해 헌신하면서 시민사회 운동의 새로운 꽃을 피운 분으로 서울시장직을 누구보다 잘 수행할 분이라고 생각한다”며 “나는 이번 서울시장 보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안 원장은 “저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것도 안다. 제게 보여준 기대 역시 우리 사회의 리더십에 대한 변화 열망이 저를 통해 표현된 것으로 여긴다”고 말했다.
박 변호사는 “안 원장과 서로 진심이 통해 정치권에서 볼 수 없는 아름다운 합의를 했다”면서 “훨씬 더 큰 책임감을 느끼며, 우리 시대를 새로운 시대로 바꾸는 일을 하고 싶다”는 포부를 피력했다.
공동회견에 앞서 두 사람은 이날 시내 모처에서 회동, 후보 단일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두 사람 간 후보 단일화가 이뤄짐에 따라 서울시장 보선의 구도와 판세가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있으며, 내년 총선과 대선 구도에도 적지 않은 변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민주당 등 야권이 통합후보 선출작업을 가속화하는 데 맞서 한나라당은 외부 영입 등을 통한 중량감 있는 후보를 물색할 방침이어서 향후 선거전은 예측불허의 혼전을 거듭할 것으로 관측된다.
나아가 안 원장이 이번 과정을 통해 상당한 지지기반을 확인함으로써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와 정몽준 전 대표, 민주당 손학규 대표,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으로 짜여진 내년 대선 구도에도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일각에서 서울시장 선거는 박 변호사, 대선은 안 원장이 나서는 ‘역할분담론’이 제기되면서 이들을 중심으로 ‘제3정당 창당론’도 흘러나오고 있다.
안 원장은 회견에서 대선 출마설에 대해 “(박 변호사와) 논의하지 않았다.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일단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