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는 지방요금 동결과 물가안정협의회 구성하는 등 서민물가안정 종합대책을 마련해시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시는 공공요금의 가이드라인을 적용, 지방공공요금 동결 기조를 유지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시는 공공요금 인상 조정안 검증절차를 강화하는 한편 시 관리 공공요금 6종(상하수도료, 쓰레기봉투 가격, 정화조청소료, 문화공연 관람료)에 대한 정보제공과 월별로 요금을 공시할 계획이다.
시는 또 공무원과 직능단체, 시장상인회, 소비자단체 등 유관기관 및 단체가 참여하는 물가안정 유관관협의회를 구성해 올해 말까지 운영한다.
모두 16명으로 구성되는 협의회는 물가 안정을 위한 주요 부문별 가격 모니터링과 물가안정 캠페인을 전개한다.
시는 저렴한 가격과 차별화된 다양한 서비스로 실제 물가안정에 기여하는 업소를 착한가격 모범업소로 선정해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시는 가격과 원산지표시제 이행여부, 전통시장 상품권 취급 여부 등 공공성 기준을 바탕으로 주부 물가 모니터링단, 소비자단체 등 현지 실사 평가단의 평가로 30개 업소를 선정한다.
착한가격 모범업소로 지정되면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등을 통해 대출금리 및 보증수수료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행정지원도 받게 된다.
시 관계자는 “농산물을 중심으로 물가가 상승하면서 서민 경제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라며 “서민물가안정에 최선을 다하고 지역경제 활성성에도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