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공사, 하자이행 기간 등 놓고 대립
오는 2012년 말 준공 예정인 서울지하철 7호선 부천구간 공사현장에서 기존의 하수박스 재사용과 재설치 문제를 놓고 시와 건설사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이견을 보이는 등 부작용이 일고 있다.
더욱이 관계자 대책회의에서 정밀안전진단에 의한 재사용에 문제가 없음이 검토됐으나 시는 마땅한 대안 없이 기존의 원칙만을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부천시와 시공사인 대우, 삼성건설 등에 따르면 시와 시공사 측은 서울지하철7호선 부천구간 754, 755 정류장의 대형 하수박스 재사용과 재설치를 놓고 지난 2009년 9월부터 최근까지 10여 차례에 걸친 협의를 진행했으나 결렬됐다.
지하철7호선 공사구간인 부천원미경찰서부터 부천시청 인근까지 총 길이 1.5Km 구간에 있는 폭 46m, 높이 4.75m의 대형 하수박스로 재설치 시 총61억(703공구 19억, 704공구 42억)의 예산이 들지만, 재사용하면 45억으로 16억의 예산이 줄어 드는 등 공사비 절감효과를 볼 수 있다.
하수 박스 재사용과 관련, 시공사 측은 정밀안전진단을 벌여 B등급(양호) 판정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시는 시공사 측에 30년간 하자이행 보증증권 제출 및 30년간 유지관리비용을 부담하라는 요청했다.
대우건설(703공구)은 수용 입장을 보인 반면 삼성건설(704공구)은 책임기간을 10년으로 줄여 줄것을 요구해 협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하수박스를 재설치하려면 콘크리트 구조물을 전면 철거한 후 재시공을 해야 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6개월~1년 6개월까지 길어지고 기존 왕복 8~10차로가 4~8차선으로 줄어 출·퇴근 시간대 극심한 교통체증이 예상된다.
부천시 관계자는 “애초 시공사가 지난 2005년 하수박스에 2천여개의 천공을 내고 작업한 뒤 설계적격심사에서 철거 후 재설치를 약속했다”면서 “교통대란은 교통전문가가 판단할 문제고 다소 시민들이 불편하더라도 안전하게 재설치 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