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3일 범야권의 통합후보 선출에 맞서 ‘서울시장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을 앞당기는 등 선거체제로 조기 전환키로 했다.
나경원 후보에 대한 총력적인 지원을 위해 친이·친박을 아우르는 ‘초계파 통합선대위’를 구성하고, 서울지역 의원(37명) 전원과 경기·인천지역 의원들까지 대거 참여한다.
당내 최대 주주인 박근혜 전 대표의 경우 ‘복지당론’ 확정 후 특별한 선대위 직책없이 지원하는 방안도 강구된다.
당 지도부는 일찌감치 친이와 친박이 모두 참여하는 초계파 선대위 구축방침을 정했다. 야권의 후보통합에 맞서 당이 하나가 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김정권 사무총장은 이날 박근혜 전 대표의 역할론에 대해선 “직책없이 역할을 하는 게 더 낫지 않겠느냐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종의 ‘리베로’ 역할이다.
당 지도부는 이르면 4일 박 전 대표를 만나 이 같은 구상과 함께 당의 복지당론을 설명할 예정이다.
선대위 인선은 그간 친박계 홍사덕 의원이 단독 선대위원장을 맡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정몽준 전 대표, 최병렬 전 한나라당 대표 등과 함께 선대위 고문을 맡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선대본부장은 친박과 친이계를 각각 대표하는 이성헌, 진영 의원 공동본부장 체제가 유력시되고 있다.
당 지도부는 오는 5일 의원총회를 열어 당의 ‘복지당론’을 확정한다. 애초 7일에서 이틀 앞당겨진 것이다. 복지당론은 대체로 큰 틀에서 박 전 대표의 이른바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소득 구분없는 무상급식 검토, 보육 및 교육지원 확대, 고등학교 의무교육 실시, 대학등록금 부담완화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