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기침체 장기화가 지속돼며 대출 급증과 대출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며 이자부담액이 50조원을 넘었다.
27일 한국은행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총소득의 5%가 가계부채 이자 상환에만 쓰이고 있으며 가계의 이자 부담이 너무 크다 보니 심각한 내수부진까지 우려된다.
이는 ‘하우스 푸어(House Poor.집은 있으되 대출이나 세금부담으로 실질소득이 줄어 빈곤하게 사는 사람)’가 현실로 다가오는 모습이다.
금융권 및 한국은행 자료를 토대로 금융기관별 대출액과 기관별 평균 대출금리로 추산한 결과 올해 가계대출 이자부담의 총액은 56조2천원에 달하는 것으로 27일 집계됐다.
가계대출 이자부담이 50조원을 넘어선 것은 사상 초유의 일로 지난해 국민총소득(1천173조원)의 4.8%를 차지했다.
이는 이자부담 급증은 대출금의 급증과 대출금리의 상승이라는 두 요인이 맞물리며 발생했다.
또한 지난해말 797조4천억원이었던 가계대출은 올해 9월말 840조9천억원으로 증가하며 1년새 무려 43조원이 늘었다.
금융기관별 대출액은 은행이 431조5천억원에서 449조6천억원으로 18조원 많아져 가장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말 연 5.35%였던 은행 대출금리는 올해 9월말 5.86%까지 뛰었다.
대출액 증가를 감안하면 은행에서 빚을 낸 가계의 이자부담이 3조3천억원이나 늘었고 저축은행 금리는 연 12.7%에서 16.7%로 4%p나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