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홍준표 대표는 8일 내년 총선과 관련, “혁명에 준하는 총선 준비를 하도록 할 것”이라며 “현역의원 전원의 불출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는 자기 희생적이고 과감한 인재영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홍 대표는 이날 오후 여의도당사에서 가진 쇄신안 발표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하고, “젊은 층과 장애인, 빈곤층 등 소외받은 이들의 실질적 참여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 4월 총선 공천에 대해 “일찍이 보기 어려운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국민이 보기에 도덕성의 문제나 자격의 문제가 있을 경우 공천에서 원천 배제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역의원과 당협위원장은 일체의 기득권을 인정하지 않고 선수(選數)에 상관없이 지난 4년간 의정활동과 조직활동으로 전원 재심사를 받도록 하겠다”면서 “재심사위원회는 전원 당외 인사로 구성, 공천심사위에 가기 전에 2단계로 심사를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홍 대표는 이를 다루기 위해 예산국회 직후 총선기획단을 발족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당내·외 인사로 ‘재창당 준비위’도 발족시켜 13년 전통의 한나라당을 허물과 당을 완전히 재건축하겠다”면서 “이름을 비롯한 당 구조 등을 백지 위에서 고민해 완전히 새로운 정당시스템을 마련하고, 잠재적 대권주자들이 내년 총선에서 실질적으로 전면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당헌·당규를 개정하겠다”고 언급했다.
현재의 당헌·당규는 대권에 출마하려면 대선 1년 6개월전 당직에서 사퇴하도록 규정, 당헌 개정이 이뤄질 경우 박근혜·정몽준 전 대표와 김문수 경기도지사 등 대권주자들도 조기에 당 운영에 참여할 수 있어 잠룡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홍 대표는 또 “당 대표로 있는 동안 쇄신작업에 매진하겠다”면서 당내의 퇴진 요구에 대해서는 “자리에 연연하는 것이 아니라 무책임하게 대안없이 대표를 그만두고 나가버리면 당에 대 혼란이 초래된다. 대안이 마련될때까지는 대표직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겠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