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존 리스크로 비틀거리던 금융시장이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이라는 복병까지 겹치면서 공황에 빠졌다.
19일 김정일 사망 소식이 알려지자 장중 코스피는 90p가까이 폭락했고 환율은 21원 넘게 뛰어올랐다.
이렇다 보니 정부의 물가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 위축을 불러올 가능성도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코스피 1,700선과 환율 1,200원대로 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게다가 북한 정세의 변화에 따라 금융시장의 침체가 훨씬 장기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금융시장 곳곳에 비명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0.47p(0.57%) 내린 1,829.49로, 원·달러 환율은 1.40원 오른 1,160원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낮 12시1분을 기점으로 금융시장이 요동쳤다.
북한의 조선중앙통신이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전한 뒤부터다.
코스피는 낙폭을 크게 늘려 1,750.60까지 떨어졌고 환율은 한때 1,185.00원을 고점으로 찍었다.
코스피가 1,800선(종가 기준)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달 25일(1,776.40) 이후 처음이다.
환율은 그리스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고조됐던 지난 10월6일 고점(1,192.60원)을 찍은 이후 두 달 여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위기로 최근 일주일 넘게 비틀거리던 금융시장에 복병까지 겹친 셈이다.
물가·소비에 악영향전문가들은 이번 악재가 단기에 해소되기는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연내는 물론 내년 초까지도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이번 사건은 개인의 사망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융시장은 당분간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한 정세에 민감한 외국인들이 과도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당장 환율 급등으로 물가 관리는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내년 생활물가 안정과 민생 안정을 두고 정책을 펼칠 방침이었지만 뜻밖의 복병이 등장해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