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北불안 사재기? 금값 최고치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국내 금 가격이 5일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21일 한국금거래소의 국내 금 거래 시세표를 보면 지난 20일 기준으로 순금 한 돈(3.75g)의 시세(살 때)가 23만8천원을 기록했다.

국내 금값은 북한 관련 이슈가 터질 때마다 급등하는 현상을 보였다.

지난해 3월26일 천안함 사태가 발생했을 때 16만7천750원에서 다음날인 27일 16만8천850원으로 1천100원 뛰었다.

연평도 포격사건이 있었던 지난해 11월23일에는 20만3천500원에서 24일 20만9천원으로 하루 만에 무려 5천500원 급등했다.

금값 상승에는 원·달러 환율 영향이 크다.

지난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김 위원장의 사망 소식에 급등하며 장중 한때 1,185원을 찍은 다음 전 거래일보다 16.20원 오른 1,174.80원에 거래를 마쳤다.

소비자들의 안보 불안심리가 커진 것도 금 수요 증가에 한몫했다.

피란 등의 상황에서도 쉽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금 매수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북한 리스크로 인한 금 가격 상승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당장 내전이나 쿠데타와 같은 상황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평가에 원·달러 환율이 안정세를 찾았기 때문이다.

국제 금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작아 수요가 웬만큼 늘어나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업계 관계자는 “당분간 북한과 중국, 우리나라가 모두 눈치를 보는 상황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