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민간차원의 이산가족교류가 더욱 활성화 될 전망이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 남북이산가족협의회(이하 협의회)는 최근 간담회를 갖고 의약품과 생필품 지원은 물론 이산가족 상봉에 대해서도 적극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26일 대한적십사사 등에 따르면 한국과 북한은 지난 2000년 ‘6·15공동선언’이후 현재까지 총 18차례에 걸쳐 1천800여명의 이산가족이 상봉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부는 남한의 이산가족이 북한 가족의 생존을 확인할 경우 100만원을 지원하고, 중국 등 제3국에서 상봉시 300만원의 지원금을, 제3국을 통한 편지왕래의 경우 건당 50만원의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하고 있다.
또 남북이산가족협의회와 일만이천이산가족위원회 등 민간단체는 3국을 통해 의약품과 생필품 등을 북한의 가족들에게 보내고 있다.
그러나 남한에 생존한 이산가족들이 통일부의 이러한 지원금 제도는 물론 의약품과 생필품을 북한의 가족에게 보낼수 있는 방법을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 협의회는 내년 1월 협의회를 사단법인으로 정식 등록해 민간차원의 이산가족 교류를 더욱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심구섭 남북이산가족협의회 대표는 “현재 생존 이산가족 대부분이 고령으로 시간이 많지 않다”면서 “민간차원 이산가족 교류 활성화로 생존해 있는 이산가족이 가족을 만날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