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논의가 뜨거운 수원시와 오산시의 불법 노점 대처법이 극명하게 엇갈리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도청 소재지이자 세계문화유산 화성(華城)이 위치한 수원시가 수원역앞 불법 노점으로 인한 시민들의 민원을 해결하기 위한 이렇다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반면 급격히 인구 증가가 진행되는 오산시가 오산역앞 광장 불법 노점 퇴출을 위한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해 대조적이란 평가다.
오산시는 대다수 시민들의 불편을 우려하는 곽상욱 시장의 의지에 따라 오산역 앞 10개 노점상들과의 끊임없는 대화와 타협으로 노점상 자체적으로 노점상없는 거리를 시행하는 획기적인 방안을 만들어냈다.
실제 지난달 25일부터 오산역 앞은 단 한곳의 노점도 없는 상태로 탈바꿈했으며 매일 이어지던 노점상 관련 민원마저 사라져 주민들의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앞서 오산시는 지난 1년여간 화성동부경찰서 등 관련기관과의 협조는 물론 고양시와 서울 노원구를 수차례 방문, 벤치마킹해 상인들에 대한 자구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왔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12년에는 약 1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과거 노점 일원을 택시승차장으로 조성해 시민 불편 해소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오산시가 불법 노점상 퇴출에 대해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는 반면 수원시는 대책이 전무하다.
염태영 시장은 수원시를 생생도시 전국 1위에 올려놓는 등 청결한 도시환경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지만, 시장의 의지에도 수원역앞 40여개 불법 노점으로 도시환경 저해와 시민불편 해결의지가 여전한 실정이다. 수원시 담당부서는 벤치마킹등을 통해 지난 6월 해결방안을 제출했다고 밝혔으나 도로과 등 관련부서는 사실무근이라 맞서는등 문제해결은 커녕 책임회피에 급급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시 관계자는 “용역업체를 동원해 지속적인 단속을 펼치고 있으나 불법 노점상들의 저항이 완강해 뾰족한 방법을 찾기 어렵다”면서 다른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