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16년까지 우리나라 자전거의 수송부담률을 5% 늘리고, 단거리 운행 승용차의 10%를 보행으로 전환시키는 교통수단 활성화 종합계획이 확정됐다.
국토해양부는 보행·자전거 활성화를 뼈대로 한 ‘제1차 비동력;무탄소 교통수단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해 내년부터 2016년까지 향후 5년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교통 혼잡 완화,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을 목적으로 보행·자전거의 ▲기초 인프라 확충 ▲대중교통과의 연계체계 구축 ▲통근·통학 교통수단 활성화 ▲교육·문화 확산 ▲교통수단 발전기반 조성 등 5대 추진 전략을 담고 있다.
우선 기초 인프라 확충을 위해 보행·자전거 도로를 단계적으로 늘리고 단절 구간을 연결해 보행이나 자전거를 통해 지역 생활권을 편리하게 오갈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작년 총연장 1만3천37㎞에 불과한 전국 자전거 도로를 2016년까지 2만4천400㎞로 두 배 가까이 늘린다.
또 전국 곳곳에서 시행하고 있는 보행우선구역, 대중교통전용지구 시범사업과 도시형 올레길, 차없는 거리조성 사업을 매년 확대한다.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확보와 자전거 도난·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펜스, 신호등, 조명시설, CCTV 등도 확충한다.
아울러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들이 대중교통으로 편리하게 환승할 수 있도록 지하철역, 버스정류장 주변을 중심으로 자전거 주차시설을 늘리고, 열차내 자전거 칸 운영, 버스에 자전거 거치대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된다.
한편 자전거를 이용한 통근·통학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전거-지하철 환승시 요금을 깎아주는 등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또 공공기관과 기업체에는 자전거 통근자를 위한 샤워시설, 주차시설 등 편의시설 설치를 적극 권장키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