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시와 용인경전철(주)는 최소해지시 지급금 분할지급 합의 이후 시가 제안한 ‘용인경전철 정상운영을 위한 재구조화안(이하 재구조화안)’을 놓고 검토중인 상태다.
‘재구조화안’은 최소운영수입보장액(MRG) 삭제와 수요예측 변경, 지원금 지급 등을 골자로 사실상의 대중교통 준공영제 방식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구랍 28일 분당선 연장선 기흥구간이 개통되면서 용인경전철 연내 개통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도 높은 상태다.
그러나 시와 용인경전철(주) 모두 협상에만 매달리면서 김학규 용인시장이 강조했던 안전성 확보 등 실제 준공과 정상운행에 필요한 각종 조치들은 뒷전으로 밀려 올해 정상운행이 불투명한 실정이다.
실제 협약 해지 이전 택배로 시에 제출됐던 감리단의 승인없는 시운전 완료보고와 준공보고서 등은 반려와 국제중제 이후 현재까지 재제출되지 않았다. 새롭게 제기된 선형변경 의혹과 역사 침수, 소음민원, 안전검사 등에 대한 보완책도 뚜렷하게 나오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용인경전철 개통을 위한 안전성 확보와 각종 조치들이 시급하다는 지적들이 잇따라 제기되면서 시와 용인경전철(주) 등에 대한 책임론마저 다시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경전철 정상운행을 위해 무엇보다 시민들의 안전을 우선으로 생각하는데는 변함이 없다”면서 “재구조화 협상과 함께 드러난 문제점들의 보완도 함께 진행할 계획으로 어려움이 있으나 최선을 다해 경전철 연내 개통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경전철(주) 관계자는 “경전철 정상 운영을 위해 시의 어떠한 제안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