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수도권 아파트값 하락세 속에서도 소형 아파트는 ‘나홀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부동산포털 부동산114의 ‘2011년 면적별 아파트 매매가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수도권 전체의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가격은 2010년 말보다 1.04% 올랐다.
같은 기간 중형 아파트(60~85㎡)와 대형 아파트(85㎡초과)는 0.40%, 1.47% 각각 떨어졌다는 점에서 소형 아파트만 유일하게 선전한 셈이다.
수도권 소형 아파트의 상승세는 경기지역이 주도했다.
경기지역의 60㎡ 이하 소형 아파트는 1년 사이 2.63%나 올라 서울(-0.01%)과 인천(-1.40%)의 가격 내림폭을 메우고도 남았다.
서울과 인천은 소형 아파트마저 다소 약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그나마 중형(서울 -0.53%, 인천 -2.11%)과 대형(서울 -1.38%, 인천 -3.40%)보다는 훨씬 선방했다는 평가다.
이처럼 나타난 이유는 공급 부족과 전세난 등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2000년대 수도권 주택시장이 호황을 맞자 건설사들이 더욱 큰 이윤을 얻을 수 있는 중대형 아파트를 앞다퉈 짓느라 상대적으로 소형 아파트가 부족해졌다 것.
또 전세난에 매매로 돌아서는 수요자들이 주로 경기 지역의 저렴한 아파트를 구입하기 시작하면서 소형 아파트의 수요층이 예전보다 두터워진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