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주택 인허가 물량이 2010년보다 9만가구 이상 많은 48만가구를 웃돌 것으로 예상됐다.
도시형 생활주택과 다세대·다가구,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민영아파트 건설 물량이 전년도에 비해 늘어난 까닭이다.
국토해양부는 지난해 주택 인허가(건축허가, 사업승인) 물량을 추산한 결과 총 48만여가구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6월 주택종합계획에서 수립한 주택공급 목표물량인 40만4천가구에 비해 7만6천가구(18.8%) 초과 달성한 것이자 2010년 실적인 38만7천가구에 비해 24% 증가한 것이다.
지난 2007년 55만5천792가구에 달한 주택 인허가 물량은 2008년 37만1천285가구로 급감한 뒤 2009년(38만1천787가구) 등을 기록했다가 지난해 4년만에 처음으로 40만가구를 넘어섰다.
이처럼 인허가 물량이 당초 목표를 초과한 것은 민간부문의 주택 건설이 활발했기 때문.
지난해 1~11월까지 공식집계된 민간주택 인허가를 물량은 총 37만3천65가구로 2010년(1~11월)의 19만2천723가구에 비해 무려 93.6%나 증가했다.
특히 단독·다가구·다세대(도시형 생활주택 포함) 등 아파트 이외의 물량이 크게 늘었다.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11월 아파트 외 주택 건설 인허가는 모두 17만798가구로 2002년 27만707가구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국토부는 아직 집계가 끝나지 않은 지난해 12월분까지 포함하면 작년 전체 민간주택 인허가 물량은 2010년보다 50% 가까이 늘어난 37만여가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단독·다세대·다가구 등은 공사 기간이 짧기 때문에 지난해 인허가 물량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입주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