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정치권이 4.11총선을 3개월 앞두고 너나없이 ‘전당대회 돈봉투’ 쓰나미에 휩싸여 휘청대고 있다.
한나라당이 박희태 국회의장의 연루의혹이 제기된 2008년 전대 돈봉투 사건과 함께 2009년과 2010년 전대 돈봉투 의혹에 대해서도 검찰 수사를 의뢰하고 나선데 이어, 민주통합당도 지난해 12월의 전대 예비경선 과정 등에서 돈봉투 의혹이 제기되면서 자체 진상조사를 벌이고 있다.
여당의 경우 검찰 수사진행 경과에 따라 유력 인사들의 검찰 줄소환을 예고하고 있으며, 야당도 내부 진상조사를 통해 금품 살포를 확인할 경우 검찰 수사의뢰 방침을 밝히고 있다.
여야가 본격 총선 레이스를 앞두고 ‘관행적인 금품선거’라는 구태정치에 발목이 잡힌 셈이다.
특히 ‘안철수 신드롬’의 후폭풍으로 기성 정치권의 존립 기반이 위기를 맞아 거센 쇄신풍에 휩싸인데 이어, 돈봉투 파문까지 확산되면서 정치권 전반에 대한 국민적 불신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여야의 위기감이 가중되면서 고해성사식 정면돌파와 함께 서둘러 고강도의 처방전을 내놓고 있다.
한나라당 황우여 원내대표는 10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불법적인 선거운동에 대한 검찰수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한나라당은 잘못이나 실수가 있을 때 감추거나 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부딪쳐 돌파해 왔다”면서 “이번 일에 대해 정확한 사실을 드러내 근원적 처방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나라당은 박 의장에 대한 의장직 사퇴 ‘결단’도 거듭 압박했다.
민주통합당도 이날 오후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1.15전당대회 당권주자의 돈봉투 제공의혹에 대한 당 진상조사단의 1차 조사결과를 보고받고 대책을 논의했다.
민주통합당은 전날 모 전대 후보가 지난해 12월 열린 통합결의 전당대회와 예비경선(컷오프)을 전후해 영남권 지역위원장들에게 50만∼500만원의 돈봉투를 돌렸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진상조사단을 꾸려 해당 지역위원장을 면담하는 방식으로 현지조사에 착수했으나 난항을 겪고 있다.
당 공명선거분과위원장인 임내현 전 광주고검장이 간사를 맡은 진상조사단은 현재까지 돈봉투 의혹을 규명할 만한 구체적인 진술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지만, 사실로 드러날 경우 후보자격 박탈과 함께 검찰수사를 의뢰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