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9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전세시장 하락세? 착시효과!

수도권 전세시장에 가격이 내린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오른 ‘착시효과’가 나타나 수요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연일 떨어지고 있지만 최근 2년간 이미 너무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15일 국민은행의 주택전세가격 종합지수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해 12월에 전월 대비 0.3% 떨어졌다.

겨울방학을 이용한 이사수요와 학군수요 등으로 전셋값이 들썩일 것이라는 예상과 정반대의 결과였다

그러나 ‘전세 구하기 그리 어렵지 않겠다’는 기대감을 품고 집을 찾으러 나서면 여전히 비싼 전세가격에 깜짝 놀라게 된다.

전셋값이 내린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올랐기 때문이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현재 수도권 아파트 전세 시가총액이 619조원으로 지난 2010년 1월 521조원에 비해 98조원 올랐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260조원에서 310조원으로 2년만에 50조원이 대폭 상승했고 경기도 역시 165조원에서 199조원으로 34조원 올랐다.

신도시는 5조5천억원에서 6조6천억원으로 시가총액이 1조1천억원 늘어났다.

수도권에서 2년간 전세 시가총액이 감소한 시군구는 단 한곳도 없다.

최근 수년간 신규 공급이 쏠린 김포한강신도시와 파주운정신도시 등은 작년 1월 전세 시가총액이 전년보다 떨어지기도 했지만 올해 1월 들어 다시 올랐다.

김포한강신도시는 2010년 7천484억원에서 2011년 7천274억원으로 210억원 하락했다가 올해 7천567억원으로 상승했다.

파주운정신도시도 1조원에서 9천600억원으로 빠졌다가 올해 1조2천억원으로 올라갔다. 정부가 작년 한해 1.13 전·월세 안정화 방안에서 12.7 주택시장 정상화 및 서민주거 안정 지원방안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에 걸쳐 전·월세 안정화 대책을 발표했지만 실효성을 거두지 못한 셈이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최근 전셋값이 주춤했다고 하지만 1~2년 전과 비교하면 훨씬 올랐고 설 연휴 이후 본격적인 이사철을 앞두고 곳곳에서 상승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면서 “전셋집 찾기가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배너


COVER STORY